
2022년 6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개표가 진행된 대구 한 중학교 개표소의 모습. 영남일보DB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6년 6월 3일 시행)가 1년 앞으로 다가왔다. 차기 대구시장 선거는 '시장직 공석'이 예고된 이후 일찌감치 과열 조짐을 보이고 있다. 대구시의 경우, 타 지자체보다 더 빨리 '권력 교체기'가 찾아온 것. 밑그림만 잔뜩 그리고 착공 등 이렇다할 가시적 성과가 없었던 민선 8기 시정 상황을 냉정하게 평가해, 혁신형 리더를 물색해야 할 중요한 시점이다.
◆넘쳐나는 대구시장 후보군
대구시장직이 무주공산이 되면서 차기 대구시정 지휘봉을 누가 잡을지를 두고 지역 관가는 벌써부터 들썩이고 있다. 시장 선거 후보 난립도 점쳐진다.
자천타천 대구시장 후보군만 10여명에 이른다. 지역 관가와 정치권에서 거론되는 차기 대구시장 후보군에는 김부겸 전 국무총리, 김상훈 의원, 배광식 대구 북구청장, 이태훈 대구 달서구청장, 우동기 전 지방시대위원장, 유영하 의원, 윤재옥 의원, 조응천 전 의원, 주호영 의원, 추경호 의원, 허소 민주당 대구시당 위원장, 홍석준 전 의원, 홍의락 전 의원(가나다 순) 등이 있다.
물론 이들 상당수는 아직 하마평만 흘러나온 수준이다. 실제 출마 여부는 지켜봐야 한다. 하지만 일부 인물은 벌써부터 선거 캠프 진용을 갖추고 사실상 선거 준비에 돌입했다는 이야기가 흘러 나온다. 경우에 따라선 이들 정치인 출신인 후보군 외에 정통 관료 출신 '뉴페이스'가 깜짝 등장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민선 8기가 남긴 과제들
지난 4월 한 대구시의원은 "민선 8기 출범 후 몇 년간 대구는 유례없던 변혁의 시기였다. 기존 진행됐거나 확정됐던 사업이 전면 백지화되거나 변경됐고, 새롭게 추진했던 정책은 아직 갈등의 불씨가 꺼지지 않고 있다"며 "대구시는 멈춰버린 시책을 돌아보고, 갈등을 유발하는 정책은 재정비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빛과 그림자'가 선명했던 대구시 민선 8기 체제를 언급한 것이다. 대구 취수원 정책 전면 재검토, 대구경북 신공항 국비재원 마련 방안, 대표적인 포퓰리즘 정책으로 헛발질만 한 대구 노후 산단 태양광 지붕 프로젝트(3조원 규모) 등 일부 대형 사업 방향이 당초보다 뒤틀리거나 바뀔 것으로 예상돼서다.
대구시 민선 9기 시정에선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대목이다. 이와 관련 지역 관가에선 몇가지 조언을 한다. 우선, '초대형 사업'들은 각종 변수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단체장의 강력한 의지를 토대로 프로젝트를 추진해도 해당 사업을 둘러싼 변수 검토가 부족하거나 반대 등 다른 의견을 묵살한다면 사업의 연속성을 장담할 수 없어서다. 과도한 행정력 낭비를 야기할 수 있다. 둘째, 팬덤에 의존하는 단체장의 정치적 행보에 한 지자체 운명을 맡겨선 안된다는 것. 단체장의 정치적 역량을 지역 발전을 위해 적극 활용할 수 있지만, 너무 의지해서도 안된다는 것이다.
셋째, 이른바 '어공(어쩌다 공무원)'의 규모와 성격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하다. 단체장의 측근으로 분류되는 어공 중심의 조직 운영은 장점도 있을 수 있지만, 유력 어공에 대한 줄서기 등 지나치면 수습이 불가할 정도로 부작용이 크다. 조직내 갈등의 불씨가 될 수 있다. 소모적인 '충성 경쟁'을 심화시킬 수도 있다.
대구지역 관가 한 관계자는 "시정에도 '공과'가 있다. 민선 8기 대구시의 성과가 있다면, 아쉬운 점도 있었다. 물론, 지금 대구시는 민선 8기 시정의 '공'을 인정받을 사람도, '과'를 책임질 사람도 없는 상황"이라며 "하지만 민선 9기 시정의 성공적 출발을 위해선 민선 8기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