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체장애 1급인 A씨(여·32·동구 신평동)는 거동을 잘 못하는 데다 남들과 의사소통도 원활하지 못하다. 이런 역경에도 A씨는 2003년 대학 과정을 수료한 뒤 2012년 대학원까지 마쳤다. 하지만 졸업 후 취직은 쉽지 않았다. 구직을 위해 매달 수차례 입사 원서를 냈으나 번번이 고배를 마신 것. 2013년에는 장애인 의무고용제도에 따라 대구의 한 회사에 입사했지만 1년 계약이 끝나자마자 일자리를 잃었다.
A씨는 “대구에서 장애인이 일자리를 구하기는 하늘의 별따기다. 대학원을 나온 것도 소용이 없을뿐더러 진정으로 장애인을 동료로 받아주는 곳도 없는 것 같다”고 토로했다.
대구·경북지역 장애인 취업률이 전국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1~3분기 평균 대구·경북의 장애인 취업률은 각각 43.46%, 51.13%다. 이는 16개 광역자치단체(세종시 제외) 가운데 16위, 12위에 해당되는 수치다.
반면 전남은 장애인 취업률이 84.5%에 달했다. 충북(75.83)과 충남(73.93%), 울산(70.43%) 등 지자체도 취업률이 70%를 웃돌았다.
더욱이 대구는 최근 3년간 분기별 평균 장애인 취업률이 전국 최하위권에 머물고 있어 심각성을 더한다. 대구의 연도별 장애인 취업률은 2013년 44.67%(16위), 2012년 40.87%(12위)다.
경북도 2013년 분기별 평균 장애인 취업률 50.95%(9위)를 기록한 것이 최근 들어 가장 높은 순위다.
이에 복지 전문가들은 장애인 취업률을 높이기 위해선 지자체의 관심이 가장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노금호 대구사람장애인자립생활센터소장은 “장애인은 고등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취업률이 낮고, 취업이 돼도 1년 이내 퇴사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공공기관도 장애인 고용률이 낮은 것으로 알고 있다. 지자체부터 장애인 취업에 신경을 써야 한다”고 꼬집었다.
우동섭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대구지사 취업지원부장은 “자치단체에서 장애인 취업에 전혀 신경을 쓰지 않고 있는 게 사실”이라며 “그나마 지난해부터 대구시에 장애인복지과가 신설돼 장애인 복지 증진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 장애인복지과 관계자는 “대구시는 장애인 일자리 사업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산하 기관을 중심으로 장애인 고용률을 높이도록 조치를 취하고 있는 중”이라고 해명했다.
최미애기자 miaechoi21@yeongnam.com
김성현 인턴기자 kim25kim@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