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오른쪽)가 23일 오후 광주 동구 금남로에서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위한 서명운동을 하고 있다. 민주당 지도부는 이날 광주에서 열린 박근혜 대통령 퇴진 광주전남 국민주권운동본부 출정식에 참석했다. 연합뉴스 |
새누리당 김무성 전 대표가 “탄핵에 앞장서겠다”며 여당발(發) 탄핵의 신호탄을 쏜 가운데, 야권도 당내 탄핵추진 기구를 가동해 탄핵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특히 오는 26일 예정된 주말 촛불집회 직후인 다음 주 대통령 탄핵, 특별검사팀 구성, 국정조사 절차가 동시에 시작될 가능성도 커 ‘최순실 게이트’ 정국이 이때 결정적인 갈림길에 설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21일 의원총회에서 당론으로 탄핵추진을 채택한 데 이어 23일 탄핵추진 실무준비단 첫 회의를 열고 본격적인 실무절차 검토에 착수했다. 이들은 이번 주 안에 탄핵안의 골격을 잡고, 다음 주 초까지 초안을 만드는 등 최대한 작업을 서두르겠다는 방침이다. 국민의당 역시 23일 김관영 의원을 단장으로 하는 탄핵추진단을 발족시켰다.
정치권에서는 다음 달 2일과 9일 예정된 본회의에서 바로 탄핵안 표결이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가장 중요한 변수는 여당의 ‘이탈표’다. 탄핵안이 부결되면 대통령에게 면죄부를 주면서 야권이 치명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당장 야당에서는 새누리당 비박(非 박근혜)계 의원을 설득해 가결 정족수를 확보하는 데 당력을 집중할 태세다.
산술적으로는 28표의 새누리당 이탈표가 나와야 탄핵안을 가결할 수 있다고 하지만 무기명 투표인 점이나 역으로 야권 내에서도 이탈표가 있을 수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적어도 35표 이상은 확보를 해야 안전하다는 것이 야권의 계산이다.
이런 점에서 김무성 전 대표의 이날 선언에 기대를 거는 기류도 감지된다. 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탄핵의 키는 사실상 집권당이 갖고 있다. 말로만이 아니라 후속 행동이 따라줘야 한다. 지켜보겠다”고 한 점도 그런 맥락이다.
새누리당 탈당파를 중심으로 하는 ‘제4지대’ 등장 여부도 탄핵안 가결에 변수가 될 수 있다. 국회에서 탄핵안이 가결되더라도 헌법재판소에서 탄핵심판 절차가 마무리되기 전까지는 정치권의 ‘탄핵 정국’은 계속될 전망이다.
야권의 한 관계자는 “탄핵안이 국회를 통과하지 못하거나, 헌재에서 기각된다면 야권은 정치적으로 곤란한 상태에 직면할 수도 있다”며 “결론이 나기 전에는 당의 명운을 걸고서 이 싸움에 매달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상현기자 shkim@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