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국정농단을 수사 중인 특검이 박근혜 대통령이 영남대 이사로 재직 중이던 1980~88년 당시 최태민 일가에 의한 학교농단 수사에 착수(영남일보 2월1일자 1면 보도)하면서 ‘학교법인 영남학원’의 위상에 모종의 변화가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영남학원은 1988년 각종 학교 운영비리에 대한 책임을 지고 박근혜 이사를 비롯한 이사진이 일괄사퇴한 뒤 20년간 임시 이사체제로 있다가 2009년 재단정상화로 박근혜 대통령이 7인 이사 가운데 4인의 추천권을 행사하면서 다시 재단으로 복귀했다.
영남학원의 향후 위상과 관련해 2012년 결성된 ‘영남대 재단환수를 통한 정상화 범시민대책위’(공동위원장 정지창 전 영남대 교수)는 특검수사 등 최근 움직임을 주시하면서 영남대를 특정인의 소유물이 아닌 대구·경북민이나 국가가 운영하는 방안에 대해 의견수렴 작업을 벌이고 있다.
정지창 공동위원장은 “2009년 박근혜씨가 영남학원을 아버지로부터 상속받은 것처럼 학교를 물려받도록 한 것은 잘못”이라면서 “조만간 대책위 차원의 입장 표명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영남대 전신인 대구대 설립자의 유족 최염씨도 “내가 지금 활동하는 목적도 설립자의 유지를 받들어 특정인이 아닌, 학교운영 능력이 뛰어난 인사가 학교를 경영하는 사립학교의 롤 모델을 만들기 위한 것”이라고 영남학원 위상 변화를 위해 노력할 것임을 밝혔다. 강압적으로 영남대에 흡수통합된 청구대 설립자의 유족인 최찬식씨는 “학교를 강탈당했다. 강탈한 장물은 우선 주인에게 돌려주고, 그다음 학교 위상을 논의하는 것이 상식”이라고 말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김경협 국회의원(경기 부천원미구갑)은 최근 영남학원(영남대 법인) 등이 포함된 ‘군사정권 침해 재산의 사회 환원 등에 관한 특별법안’을 대표 발의했다.
박종문기자 kpjm@yeongnam.com

박종문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