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19호 태풍 '솔릭'이 제주도를 강타한 23일 오전 대구시 동구 대구국제공항 내 전광판에 제주노선 항공편 결항을 알리는 문구가 나오고 있다. 이현덕기자 lhd@yeongnam.com |
제19호 태풍 ‘솔릭(SOULIK)’에 이어 제20호 태풍 ‘시마론(CIMARON)’까지 동해상으로 북상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한반도가 ‘쌍태풍’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긴급 비상 대응체제를 구축,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대구기상지청은 “태풍 ‘시마론’이 시속 38㎞의 빠른 속도로 이동 중”이라며 “24일쯤 독도 기준 동북쪽 해상에 위치할 것”이라고 예보했다. 대형급 태풍인 시마론은 중심기압 950hPa, 강풍 반경은 155㎞에 달한다.
23일 오후 6시 현재, ‘솔릭’의 직접 영향권에 들어간 제주에서 1명이 실종되고, 1만여 가구가 정전되는 등 피해가 잇따랐다.
지난 22일부터 이날 오후 6시까지 제주 한라산 윗세오름에 965.5㎜의 비가 내린 것을 비롯해 제주 302.0㎜, 전남 진도 186.0㎜, 강진 165.5㎜, 해남 151.5㎜ 등의 누적 강수량을 기록했다.
태풍은 이날 밤 서해 섬들을 통과해 북상한 뒤 24일 오전 1시쯤 전남 영광 부근에 상륙할 것으로 보인다. 이후 24일 오전 7시쯤 충북 충주, 오후 1시쯤 강원 강릉 부근을 지나 동해로 빠질 것으로 전망된다. 솔릭은 전날까지만 해도 충남 보령 부근에 상륙할 것으로 예보됐지만, 이후 전북 군산에서 전남 영광으로 예상 진로가 남하했다.
시마론은 솔릭과 함께 북상 중이어서 일각에선 ‘후지와라 효과’가 발생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는 2개의 태풍이 1천~1천200㎞ 정도로 인접한 곳에 위치할 경우 서로의 이동 경로나 세력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한다. 실제 2012년 제15호 태풍 ‘볼라벤’이 14호 태풍 ‘덴빈’의 경로에 영향을 미치면서 지나갔던 태풍이 한반도에 재진입한 사례도 있다.
솔릭과 시마론이란 쌍태풍으로 대구·경북 지역엔 당초 예상보다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보인다. 대구기상지청 관계자는 “시마론이 솔릭에 비구름을 보내는 등 간접적인 영향은 줄 것으로 보인다. 태풍이 동쪽으로 기울어지면서 대구·경북지역에 시간당 50㎜ 이상의 많은 비가 내리겠다. 특히 경북 북부 산지에는 최대 200㎜ 이상의 폭우가 내릴 전망이어서 시설물 관리 등 피해 예방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대구시는 23일 오전 권영진 시장 주재로 재난 관련 실·국장 및 구·군 부단체장이 참여한 가운데 태풍 대비 긴급 점검회의를 열었다. 태풍 이동경로를 실시간 파악하고, 유관기관과 협조해 피해 예방조치는 물론 응급복구 등 사후 수습에도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솔릭이 최대풍속 35㎧에 달하는 강한 바람을 동반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옥외간판과 각종 공사장 타워크레인·가림막 등에 대한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농작물 및 비닐하우스 등 시설물 관리에도 철저를 기하기로 했다.
시는 단계별로 24시간 비상근무에 나서 세월교·징검다리·급경사지 등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지역과 빗물펌프장·수문 등 방재시설물에 대해 지속적인 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권 시장은 “태풍이 6년 만에 한반도에 상륙하는 만큼 모든 공직자가 긴장감을 갖고 비상 근무에 임해야 한다”며 “시민들도 기상상황을 예의주시하고 태풍 대비 행동요령을 숙지해 피해가 없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경북도도 시장·군수와 공동 대응체제를 구축하고 대처상황을 점검했다. 도는 인명피해 우려 취약지역 240개소와 전통시장 침수 대비 배수시설 및 안전시설 199개소에 대한 사전점검을 완료했다. 전통사찰 등 문화재 및 주변시설 262개소를 예찰하는 한편 14개 시·군 33개 하천 둔치 주차장을 통제했다. 또 공사 현장의 크레인 고정 및 가설시설물 관리와 함께 시가지 대형 간판이 고정됐는지 등도 확인했다.
농경지 및 과수원에 대한 사전 대비 조치와 출어선에 대한 대피 지시 및 태풍정보 전파, 산간 계곡·물놀이지역 등에 대한 재난 예·경보시스템 방송 등에도 나서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태풍 피해 예방을 위해 기상상황에 귀 기울이는 한편 하천이나 계곡을 가로지르는 하상도로 통행을 금지하고 하천변 주차장 등 침수 우려가 있는 지역에 주차된 차량은 미리 안전한 곳으로 옮기는 등 태풍에 대비해 달라”고 당부했다.
동해안도 긴장감을 늦추지 않기는 마찬가지다. 포항해양경찰서에 따르면 포항 동빈내항·포항구항·포항신항·영일만항과 경주 감포항 등 각 항구에는 여객선 3척을 비롯해 상선 88척, 어선 1천770척이 피항한 상태다. 동빈내항에만 500여 척의 어선이 대피했고, 어민들은 정박한 선박이 요동치지 않도록 밧줄 상태를 다시 한 번 꼼꼼히 점검했다. 선장 김모씨(60)는 “혹시나 강한 바람에 고박이 풀릴지 몰라 재차 점검을 하고 있다”면서 “태풍이 한반도에 큰 피해를 주지 않고 통과하길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맹주한 포항해양경찰서장은 이날 오후 포항 동빈내항을 찾아 피항 어선들의 고박 상태와 시설물 안전 점검을 했다. 해경은 해일피해 방지 위해 해안 접근 통제 등을 실시 중이다.
대구시교육청과 경북도교육청도 학생들의 안전을 위한 휴업 조치와 시설물 점검에 나섰다. 시교육청은 실시간 기상특보를 모니터링해 학교장 재량에 따라 등·하교 시간을 조정하도록 일선 중·고교에 안내했다. 또 교육활동을 실내에서 하도록 하고 학교 취약시설에 대한 사전 안전점검, 공사현장 공사 중지 등을 지시했다.
도교육청은 태풍 솔릭이 한반도를 관통하는 24일 도내 31개 유치원·초등학교에 대한 휴업조치를 내렸다. 특히 태풍의 영향권에 들 것으로 예상되는 문경의 경우 24일 하루에만 25개 유치원과 초등학교가 무더기 휴업에 들어간다.
임호·김기태·양승진·민경석기자

이현덕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