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사망] 언론인 강제해직·언론통폐합 '악연'…영남일보도 강제폐간 아픔

  • 박준상
  • |
  • 입력 2021-11-23 14:54  |  수정 2021-11-23 15:50  |  발행일 2021-11-24 제4면
2021112301050009181_p1
1980년 11월25일자 영남일보 강제 폐간호. 검열 당한 흔적이 낭자하게 남아 있다.  영남일보 DB

전두환 전 대통령은 언론과도 악연이 깊다. 영남일보는 신군부 시절 '1도 1지(一道一紙)' 정책으로 강제폐간됐다.

1979년 '12·12사태'로 실권을 장악한 신군부세력은 본격적으로 언론의 입과 눈을 막기 시작한다. 전 전 대통령은 1980년 11월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국보위)를 통해 '언론통폐합 정책' 내놓고 언론을 통제했다. 국보위에는 지역 종교인도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언론사 구조 개선이라는 명분으로 신문사·방송사·통신사의 난립을 정리하고 공영방송 체제를 도입한다는 명분이었다. 명목상으로는 방송 공영화이지만 사실상 방송 국유화다. 동양방송이 개편, KBS로 흡수됐다.

신군부는 신문의 통폐합을 단행하면서 중앙 일간지 6개사를 3개사로 통폐합했다. 이때 중앙지의 주재기자 제도가 금지됐다.

지방지 역시 통폐합의 대상이었다. 시·도별로 하나의 신문사만 남기는 '1도 1지' 원칙에 따라 통폐합이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역사가 상대적으로 짧은 신문사가 역사가 긴 신문사를, 규모가 작은 회사가 규모가 더 큰 회사를 흡수하는 일도 왕왕 있었다.

대구경북에서는 영남일보가 매일신문으로 통폐합됐다.

1980년 11월12일 대구 보안대장실에서 영남일보 하봉룡 편집국장·매일신문 안덕환 상무·대구문화방송 한준우 사장은 '영남일보는 매일신문에 흡수되며 한국FM은 KBS에 흡수되고, 대구MBC는 서울MBC와 KBS에 주식을 양도한다'는 문서에 날인했다.

1980년 11월25일 영남일보는 강제폐간호를 발간했으며 지령은 11499호였다. 1면 고별사 밑에 '정열을 내뿜던 윤전기여 안녕'이란 제하기사가 실렸다.

 

2021112301050009181_p1
1980년 11월25일자 영남일보 강제 폐간호. 검열 당한 흔적이 낭자하게 남아 있다.  영남일보 DB
언론인 강제해직도 언론통폐합을 통해 이뤄졌다. 이 과정에서 언론인 1천명 이상이 해직되기도 했다. 편집국장 해직은 전국 언론사 중 영남일보가 유일한 사례다.

매일신문에 흡수 예정된 영남일보 사원은 198명이며, 그 중 142명이 매일신문으로 '이직'했다. 흡수된 후 퇴직한 영남일보 사원은 33명이다. 매일신문 기자로 활동한 이는 23명이었다. 흡수된 뒤 7개월 만에 국장급 5명도 권고사직 당했다.

박준상기자 junsang@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박준상 기자

디지털뉴스부 박준상입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