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홍준표(왼쪽) 대구시장과 권기창 안동시장이 지난 11일 오후 대구시청 산격청사에서 면담을 갖고 안동댐 물을 대구시의 취수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영남일보 DB) |
대구시는 협정 해지 사유로 '구미시장의 상생협정 파기'를 들며, 구체적으로 △구미시장의 지방선거 후보 당시 상생협정 반대 활동 △현재 상생협정의 요건 미비·무효 주장 △기 합의된 해평취수장이 아닌 타 취수장 협의 요구 등을 지적했다.
이종헌 대구시 정책총괄단장은 "협정서 제6조에는 협정에 참여한 각 기관이 합당한 이유 없이 협정 내용과 세부 사항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각 기관간 협의를 거쳐 협정을 해지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 당초 협정의 이행이 구미시의 귀책 사유로 더 이상 추진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대구시는 또 구미5산업단지 폐수배출 업종 추가에도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이 단장은 "대구시가 지난해 11월 유치업종 추가(산업용가스제조업 등)에 대해 동의한 사실이 있지만, 이는 상생협력이 충실히 이행된다는 전제하에서 이뤄진 것인 만큼, 앞으로 구미5산단 유치업종 변경·확대에 따른 동의 여부에 대해서는 신중히 접근하겠다"면서 "구미시에 필요한 후속 조치를 취할 것을 통보했다"고 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대구의 상수원을 더 이상 구미지역에 매달려 애원하지 않고, 안동시와 상류 댐 물 사용에 관한 협력 절차를 논의하겠다"며 "대구시민들의 건강권을 지키기 위해 모든 역량을 쏟아붓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홍 시장은 "더 이상 상수원을 구미지역에 매달려 애원하지 않고 안동시와 안동댐 물 사용에 관한 협력절차와 상생 절차를 논의하고 환경부, 수자원공사와 협력 절차를 시작하겠다"고 했다.
한편 구미 해평취수장을 거친 하루 평균 30만t의 물을 대구와 경북지역에 공급하는 내용을 담은 '맑은 물 상생협정'에는 국무조정실, 환경부, 대구시, 경북도, 구미시, 한국수자원공사가 참여했다. 환경부는 협정에 따라 구미 해평취수장에서 대구정수장까지 45.2㎞ 관로를 개설해 2028년 이후 대구에 물을 공급할 계획이었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노진실기자 know@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