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시작된 대구 앞산 모노레일 논란…시민단체 "모노레일 전면 백지화 촉구"

  • 이남영
  • |
  • 입력 2022-09-14  |  수정 2022-09-13 17:58  |  발행일 2022-09-14 제8면
다시 시작된 대구 앞산 모노레일 논란…시민단체 모노레일 전면 백지화 촉구
대구 남구 앞산 모노레일 노선 기본계획안. <대구안실련 제공>

대구지역 시민단체가 앞산 모노레일 전면 백지화를 재차 요구하고 나서, 모노레일 조성 논란이 재점화되는 양상이다.

대구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 등 시민단체는 13일 성명을 내고 '앞산 모노레일 사업 전면 백지화'를 촉구했다. 이들은 "대구 남구청은 대구시민의 휴식처이자 안식처인 앞산에 교통 약자 이용과 관광 활성화 명분 아래 사업 정당성과 의회 및 주민 의견, 절차 과정을 모두 무시한 채 모노레일 설치를 강행하고 있다"며 "당초 남구의회에 사업비 70억원으로 승인을 받아 놓고 난데없이 사업 목적과 전혀 다른 지방소멸대응기금을 임의 용도 변경해 사업비 증액까지 하려는 꼼수를 부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남구청이 지방소멸대응기금의 절반 이상인 70억원을 모노레일 조성이 포함된 '앞산 산림 레포츠 활성화 기반 시설' 사업에 배분 하려는 것은 기금 목적에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실제 남구청이 당초 지방소멸대응기금 우선 사업으로 계획했던 것은 앞산 모노레일 조성이 아니었다. 남구청은 '앞산 문화관광 일자리 플랫폼 구축'과 '1인 가구 플랫폼 운영' 등을 우선순위 사업으로 꼽았으나, 평가 과정에서 최고 등급을 받지 못해 예산이 줄어들면서 관련 사업 예산이 크게 줄어들거나 아예 없어졌다. 반면 후 순위였던 앞산 모노레일 조성에 가장 많은 예산이 투입됐다.

이정현 남구의원은 "처음 남구청이 계획한 사업 중에는 인구 증가를 위한 괜찮은 사업안이 여럿 있었다. 계획보다 적은 예산을 받았다면 우선 순위 사업에 투입하는 것이 상식인데, 인구 증가 대책으로 보기 어려운 앞산 모노레일 사업에 예산을 대거 투입한 것은 이해하기 어려운 처사"라고 지적했다.

앞산 모노레일 조성 사업은 그동안 끊임없이 논란에 휩싸였다. 고산골~강당골 일대를 모노레일로 연결해 관광객들이 다양한 관광자원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 남구청의 취지였지만 환경 문제, 경제성 부족 등으로 남구의회와 시민단체, 일부 주민들의 반대가 이어져 왔다.

남구청은 계획한 사업이 축소되거나 없어진 것이 아닌, 기반 조성을 위한 준비 단계라는 입장이다.


남구청 미래안전과 관계자는 "당초 인구소멸대응기금 280억원 확보를 계획했으나, 절반만 배정됐다. 예산에 맞춰 각 실무 담당 부서와 의논해 보니 다른 사업이 앞산 모노레일 사업과 일부 사업을 제외하고는 체계 구축 등 시간이 필요하다는 답변을 받았다. 당장 시행 가능한 사업을 먼저 하는 것일 뿐, 나머지 사업에 예산을 투입하지 않겠다는 것이 아니다"라며 "남구가 인구감소지역으로 선정되면서 10년간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만큼, 앞산 모노레일 사업뿐 아니라 계획한 나머지 사업안을 차질없이 시행 하겠다"고 설명했다.


이남영기자 lny0104@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이남영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