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는 살기 좋은 도시일까…국토연구원, 지자체 간 삶의 질 격차 소개

  • 김은경
  • |
  • 입력 2022-09-20  |  수정 2022-09-20 08:38  |  발행일 2022-09-20 제3면
대구는 살기 좋은 도시일까…국토연구원, 지자체 간 삶의 질 격차 소개
시도별 인구 10만명당 의료인력수(2021년) 보건복지부 의료통계, 국토연구원 제공
전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는 어디일까.
국토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이슈 브리핑에서 전국 지자체 간 삶의 질 격차를 소개했다. 문화, 보건, 보육환경의 지역별 격차를 데이터를 통해 제시했는데, 대구경북은 항목에 따라 전국 평균을 상회하거나 다소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 반면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은 전반적으로 주민들의 삶의 질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는 살기 좋은 도시일까…국토연구원, 지자체 간 삶의 질 격차 소개
시도별 문화기반시설 종류(2021년) <문화체육관광부 총람, 국토연구원 제공>
문화기반시설은 서울 및 수도권 쏠림이 두드러졌다. 국공립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문예회관, 지방문화원, 문화의집 등 문화기반시설은 서울 424곳, 경기 554곳, 인천 110곳으로 전체의 36.9%가 수도권에 몰려있었다. 또 수도권의 문화기반시설은 비수도권과 비교해 2014년부터 꾸준히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다만 문화기반시설은 지자체간이 아닌 인구수 100만명당 기준으로 보면 지역별 격차가 그리 크지 않았다.

최근 증가율이 높은 미술관과 국공립 도서관이 수도권에 많이 분포해있는 반면 비수도권은 상대적으로 문화의집이 많았다. 대구경북의 문화기반시설은 84곳에 머물러 17개 광역, 기초지자체 중에서 13번째로 아쉬운 수준이었다. 경북은 212곳의 문화기반시설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도서관 접근성에서 지역 간 격차가 두드러졌다. 접근성이 가장 좋은 서울은 도보 14분을 기록해 부산 32분 보다 2배 이상 짧았다. 접근성이 가장 낮은 곳은 강원(도보 122분)이었으며 경북(113분), 전남(100분) 순이다. 사단법인·재단법인 등 전문 예술법인 현황도 지역별 편차가 컸다. 서울이 116곳, 강원 47곳인데 반해 대구 21·경북 12곳으로 대구경북의 문화예술 활동이 타지역과 비교적 상대적으로 소규모, 영세하다는 추정을 하게 했다.

지역 간 의료인력 수는 격차가 뚜렷하지 않으나 의료접근성은 도시별로 차이가 컸다.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는 서울에 편중된 반면 요양병원은 서울이 가장 적었다. 시도별 인구 10만 명당 의료인력 수는 서울(1,056명), 광주(1,000명), 대구(932명) 순으로 높았으며, 세종(423명), 충북(549명), 충남(574명) 순으로 낮았다. 다만 해당인구 10만 명당 산부인과와 소아청소년과 의원 수는 서울이 가장 많고, 전남이 가장 적었다.

의료 접근성은 서울(3분), 광주(7분) 부산·대전(8분) 등이 차량으로 10분 내에 종합병원에 도착 가능하나 경남(38분), 강원(37분), 경북(32분)은 30분 이상 운전해야 도착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는 12분이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기대수명도 다소 차이가 있었다. 수도권은 83.9년으로 비수도권 83.1년보다 0.8년 긴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 기대수명은 서울(84.8년), 세종(84.4년), 경기(83.9년), 대구(82.9년) 등이다.

국공립 보육기관은 수도권의 증가율이 비수도권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2010년부터 2021년까지 국공립 보육기관의 연평균 증가율이 6.9%로 증가하고 있으며, 수도권(8.8%)이 비수도권(5.9%)보다 높은 폭으로 증가했다. 시도별 보육기관 접근성은 서울(16분), 부산(28분), 광주(29분) 순으로 높게 나타나고, 강원(89분), 경북(75분) 순으로 낮아 도시간 상당한 편차를 보였다. 국공립 보육서비스 공급률은 세종이 가장 높고, 대전이 가장 낮았다.

국토연구원은 이번 조사와 관련 "인구, 소득, 고용 외에도 문화, 보건, 교육 등 삶의 질과 직결되는 다양한 분야에서 지역 간 격차가 상당하므로 다양한 관점에서 균형발전정책을 고도화할 필요성이 있다"며 "문화, 보건, 보육의 지역 간 격차는 양적으로 뚜렷이 드러나지 않으므로 접근성, 생애주기 등 다각적 분석을 통해 체감도 높은 균형발전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은경기자 enigma@yeongnam.com



기자 이미지

김은경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