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조감도. <대구시 제공> |
대구시가 대구경북통합신공항(군공항) 건설사업 전략환경영향평가 용역을 발주한다. 대구시는 11일 신공항 건설사업 전략환경영향평가 용역 발주를 위한 입찰 공고를 냈다고 밝혔다. 용역은 다음달쯤 착수해 12개월간 진행될 예정이며, 예산은 11억4천만원 정도다.
용역의 주요 내용은 △대상지역 환경현황 조사·분석 △사업계획의 적정성 및 입지 타당성 검토 △이전지역 소음피해 영향 범위 분석 △대안의 설정 및 환경영향 예측평가 △환경영향 저감방안 및 사후관리계획 수립 △환경영향평가협의회 구성·운영 지원 △주민설명회 및 공청회(의견수렴 포함) 지원 등이다.
해당 용역은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사업에 있어 중요한 과정 중 하나라는 게 대구시의 설명이다. 국방부로부터 군공항(K2) 이전과 관련해 사업계획 승인을 받기 위해서는 환경영향평가 협의와 문화재지표조사가 완료돼야 하기 때문이다.
대구시는 내년 하반기까지 국방부로부터 사업계획 승인을 받는다는 계획이다.
앞서 지난 8월 대구시는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기본계획 수립이 완료됐다고 밝힌 바 있다. 기본계획에는 활주로 위치와 방향, 주요 군부대 시설 규모 및 배치 계획, 총사업비 등의 내용이 포함돼 있다.
그동안 대구시는 국방부와 함께 K2에 대한 현장실사 및 공군, 미7공군, 국토교통부, 외교부 등 관계기관과 협의를 통해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기본계획 발표 당시 홍준표 대구시장은 "대구경북 미래 50년 번영의 토대가 될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이 2030년 개항을 목표로 중남부권 물류·여객 중심의 중추공항으로 건설될 수 있도록 특별법 제정과 함께 남은 절차들도 차질없이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노진실기자 know@yeongnam.com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