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에 대구시 '축제장 안전관리 매뉴얼' 재조명…'사각지대' 보완 목소리

  • 노진실
  • |
  • 입력 2022-11-01  |  수정 2022-10-31 18:36  |  발행일 2022-11-01 제1면
정부와 지자체 '축제 안전관리 매뉴얼'은 주최 불분명한 행사에 적용 안돼
이태원 참사에 대구시 축제장 안전관리 매뉴얼 재조명…사각지대 보완 목소리
대구시의 '지역축제장 안전관리 매뉴얼' 책자. 대구시 제공

154명이 목숨을 잃은 이태원 핼러윈 참사 이후 '안전관리 매뉴얼' 사각지대에 대한 뼈아픈 후회와 보완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동안 주최·주관이 불분명한 대규모 모임이나 행사의 경우 정부·지자체가 마련한 안전관리 매뉴얼이 적용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행정안전부는 '지역축제장 안전관리 매뉴얼'을 만들어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민간 등이 개최하는 지역축제의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하는 데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과거 '상주 압사 사고' 등을 계기로 유사 사고 발생을 막기 위해 만든 매뉴얼이다. 축제기간 중 순간 최대 관람객이 1천 명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축제 등에는 해당 매뉴얼이 적용된다.

대구시에도 '지역축제장 안전관리 매뉴얼'이 있다. 2016년 대구시가 제작한 해당 매뉴얼에는 축제 계획 및 실행 단계에서부터 안전관리와 관련해 관계기관이 검토해야 할 사항들이 명시돼 있다. 매뉴얼은 "대구시에서 축제를 개최하는 기관, 단체, 개인은 매뉴얼을 참고해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하는 등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노력하고, 관할 구·군에서는 안전사고 예방조치를 수행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해당 매뉴얼 속 '지역축제 단계별 검토사항'에는 지역축제 계획, 시작 전, 진행 중, 종료 시, 사고발생 시로 나눠 다양하게 검토해야 할 사항들이 상세히 나와 있다.
'계획' 단계에서는 "행사장 주변에 위험 요인이 없는지, 긴급상황 발생시 축제 참가자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할 수 있는지, 화재 같은 돌발성 위험지역과 경사지역, 교통혼잡 지역 등 위치적으로 위험성이 높은 지역인지 검토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매뉴얼에 따르면, 지역축제 개최자는 안전관리계획을 작성해 관할 구·군에 제출해야 한다. 또 '축제 진행 중' 단계에는 "지역 축제장의 무제가 예상되는 사항을 검토해 안전요원을 우선 배치하는 등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야 한다"고 나와 있다. '축제 종료시'에는 "축제 참가자가 안전하게 퇴장할 수 있도록 안내해야 힌다"고 강조한다.

이와 함께 장소·시간적 위험 특성 등이 담긴 '지역축제 유형별 관리요령'도 담겨 있다. 매뉴얼은 "좁은 공간에 많은 인파가 몰릴 수 있는 축제는 사전예약제를 실시하는 등 적정 인원이 행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안전관리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나와 있다.

하지만, 정부와 지자체의 안전관리 매뉴얼은 이번 이태원 핼러윈 인파 속에서는 무력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대구에서는 축제와 관련해 행안부 안전관리 매뉴얼과 자체 매뉴얼을 병행하고 있다"며 "다만, 주최·주관 없이 자연발생적으로 대규모 인파가 몰리는 행사의 경우, 지금까지는 정부·지자체의 매뉴얼 적용이 쉽지가 않았다. 이번 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주최자가 없는 축제·행사에도 안전관리 매뉴얼이 적용될 수 있도록 보완·개선해야 한다고 본다. 또 인파가 몰리는 과밀·협소한 장소에 대한 대책 마련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이번 사고처럼 주최자가 없는 자발적 집단 행사에도 적용할 수 있는 인파 사고 예방 안전관리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진실기자 know@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노진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