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일 오후 경기도 부천시 한 장례식장에 마련된 이태원 참사 희생자 빈소를 방문, 유가족을 위로하고 있다. 연합뉴스 |
대통령실은 2일 '이태원 압사 참사'와 관련,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경질론이 제기되는 데 대해 내부 감찰과 수사 과정을 먼저 지켜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건 당일 경찰 등 당국의 책임을 묻는 여론이 고조되면서, 대통령실도 '문책성 조치'를 배제하지 않고 신중히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이 장관이 부적절한 발언과 대응 등으로 '책임론이 점점 커지고 있다'는 지적에 "누가, 얼마나, 무슨 잘못을 했는지 철저한 감찰과 수사 진행 상황을 지켜볼 것"이라고 답했다.
이 관계자는 '사실관계 이외에 정무적인 책임은 어느 정도까지 검토하고 있느냐'는 질문에도 "누가, 얼마나, 무슨 잘못을 했는지 감찰과 수사를 통해 드러날 것"이라는 입장을 되풀이했다. 그러면서 "정무적 책임 또한 사실관계를 기반으로 할 수밖에 없다고 판단된다. 사실관계를 기반으로 판단이 이뤄지지 않을까 추측한다"고 덧붙였다. 경찰이 진상 규명과 책임 규명을 위해 내부 감찰과 수사에 나선 상황인 만큼, 이에 대한 결과를 지켜보고 문책 등을 검토하겠다는 발언으로 풀이된다.
대통령실 안팎은 경찰이 지난달 29일 사고 발생 4시간 전부터 압사 우려와 관련된 112 신고를 받고도 적절한 조치를 하지 않은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당혹스러워하는 분위기다. 특히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누군가는 책임을 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내부 분위기가 감지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장은 경찰에 대한 문책론에 무게가 실린다는 평가다. 이날 경찰청은 이날 112 신고 부실 대응과 '늑장 보고' 논란에 휩싸인 이임재 서울 용산경찰서장(총경)을 대기발령 조치하고 특별수사본부 수사에 속도를 냈다.
하지만 여론 흐름에 따라 책임론의 범위가 더 넓어질 여지가 높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특히 정치권은 이상민 행안부 장관이 사고 직후 "경찰과 소방을 미리 배치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었다"는 등의 발언으로 부적절한 대응이 있었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는 만큼, 경우에 따라 윤희근 경찰청장뿐만 아니라 이 장관까지 경질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더욱이 이같은 비판 여론은 윤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에도 작용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대통령실 일부 수석 등도 교체 대상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번 참사와 관련한 경질 여부와 폭은 이르면 다음 주쯤 가닥이 잡힐 전망이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전날 저녁 '이태원 참사'로 숨진 희생자 빈소를 찾아 "국가가 제대로 지켜드리지 못해 대통령으로서 죄송하다"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대통령은 국정을 통할하는 수장으로서 대국민 사과나 유감 표명을 할 가능성은 없느냐'는 질문에 이러한 사실을 공개하면서 "대통령은 회의마다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안전에 무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