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이 8일 오전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열린 대통령비서실·국가안보실·대통령 경호처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
8일 열린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에 대한 첫 국정감사는 이태원 압사 참사 책임에 대한 여야 공방전으로 뜨거웠다.
여당인 국민의힘은 전날 더불어민주당의 전략기획위원장인 문진석 의원이 받은 참사 희생자들의 명단과 사진을 모두 확보해 공개한 뒤 추모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는 휴대전화 문자메시지 보도를 중심으로 야당이 참사를 당리당략에 이용한다고 적극 비판했다. 반면 야당은 이번 참사에서 정부의 총체적인 부실 대응이 드러났다면서 윤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가 있어야 한다고 맞섰다.
![]() |
이에 국민의힘 조은희 의원은 "용어까지 정쟁 대상으로 삼는 멘탈(정신상태)을 이해할 수 없다"며 반박했다. 조 의원은 "민주당 의원들이 '사고'라고 하면 진정성이 담긴 애도이고 정부에서 '사고'라고 하면 애도가 아닌 잘못된 말인 것에 동의하기 어렵다"고 맞받았다.
용어에 대한 여야 공방이 이어지자 운영위 위원장인 국민의힘 주호영(대구 수성구갑)의원은 "참사냐, 사망이냐 관련해서 의견들이 나오는데, 입장을 정리해 달라"고 대통령실 측에 요구했다. 이에 대해 김대기 대통령비서실장은 "업무 보고를 세밀히 살펴보지 못해 죄송하다"며 "정부에서 처음 사고와 사망자라고 말한 것은 재난안전법상 중립적 용어를 재난대책안전본부에서 실무자들이 썼는데 저희는 용어가 크게 중요하지는 않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처음 제 인사말에 분명히 이태원 참사 희생자로 돼 있으니 이해를 해주셨으면 좋겠다"고 해명했다.
국민의힘은 이날 민주당의 문진석 의원이 받은 문자메시지 관련 보도를 중점 거론했다. 야당이 대형 참사를 당리당략에 이용하려고 한다고 비판한 것이다. 국민의힘 전봉민 의원은 해당 문자 메시지 내용을 읽으며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만약 희생자 유가족이라면 그 입장에서 저 문자를 어떻게 받아들이겠나"라며 "민주당 원내대표 정무 실장을 지냈고, 민주연구원 부원장인 분이 여러 유언비어를 통해 갈등을 조장하고 정쟁을 삼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야당 측은 정부의 총체적 부실 대응과 책임 회피를 언급하며 윤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와 경질을 요구했다. 민주당 최기상 의원은 "(윤 대통령이) 국민의 안전 보호가 첫 번째 국가의 의무라고 했고, 국정 과제 중에서도 국민의 일상이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했다"면서 "국민 안전은 국가의 무한 책임이라는 약속을 못 지켰다. 사과를 먼저 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왜 책임 있는 사람을 아직도 경질하지 않느냐"고 덧붙였다.
정의당 이은주 의원 역시 "세월호 참사 당시 박근혜 전 대통령이 해경을 탓했던 것과 다르지 않다"며 "행안부에 경찰국까지 설치하면서 경찰 통제권을 강화하려 했는데, 경찰만의 문제고 행안부는 괜찮다는 건 행안부 장관을 감싸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야권의 경질 요구에 김대기 비서실장은 "지금 사람을 바꾸고 하는 것도 중요할 수 있지만 그 다음에는 어떻게 하시겠나"라며 "또 청문회 열고 뭐 하면 두 달이란 세월 흐르고 행정공백 생긴다. 그래서 지금은 사의를 논할 때가 아니다"고 반박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