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천공 개입설'에 김종대·김어준 고발

  • 정재훈
  • |
  • 입력 2022-12-06 17:35  |  수정 2022-12-06 17:40  |  발행일 2022-12-06
clip20221206163712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전경. 대통령실 제공

대통령실이 6일 대통령 관저 이전 시 '천공 개입설'을 주장한 김종대 전 정의당 의원을 경찰에 고발했다. 새 정부 출범 전 대통령 관저를 물색하는 과정에 '천공'으로 알려진 역술인이 관여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는 이유에서다. 또한 라디오에서 김 전 의원과 함께 인터뷰를 진행한 방송인 김어준 씨도 허위사실 유포에 의한 명예훼손을 공모한 혐의로 함께 고발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전혀 사실이 아닌 내용을 인터뷰 등으로 퍼뜨렸다"며 김 전 의원을 고발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통신기록 등을 토대로 김 처장과 천공이 지난 3∼4월 육군참모총장 공관 등을 함께 방문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구체적으로 입증할 계획이다.

대통령실 측은 김 씨에 대해서도 "인터뷰를 작정하고 일부러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며 "지난해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소위 '생태탕 의혹'과 관련해 연속으로 인터뷰를 진행한 것과 비슷한 맥락"이라고 설명했다.

김 전 의원은 전날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국방부 고위 관계자로부터 지난 3월 육군참모총장 공관과 서울사무소에 천공이 다녀갔다는 증언을 들었다"고 말했다. 유튜브에서도 "김용현 대통령 경호처장이 천공을 대동해 육참총장 공관을 미리 둘러봤고, 이후 대통령 관저가 한남동 외교부 장관 공관으로 바뀌었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에 대통령실은 언론 공지를 통해 "천공은 대통령실 이전 과정에 어떤 형태로도 관여된 바가 전혀 없다"며 "가짜뉴스를 퍼뜨리는 것은 민주주의의 근간을 훼손하는 행위"라고 비판한 바 있다. 육군 역시 이날 입장문을 통해 "육군이 김 전 의원의 최근 발언 관련 당사자로 언급된 인원을 통해 확인한 결과, 해당 내용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반면 피고발인이 된 김 전 의원은 "발언을 철회하거나 사과할 생각은 없다"며 "재판에 가서 진실을 다툴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법적 검토를 하겠다"고 밝혔다.

그동안 법적 조치에 신중한 태도를 비교적 보여온 대통령실은 최근 야권이 익명의 제보 등을 바탕으로 제기하는 각종 의혹에 강력하게 대응하기로 입장을 선회한 것으로 보인다. 이른바 '가짜뉴스'에 대한 불관용 원칙을 세우고 법적 조치를 상시화하는 기류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고발 배경에 대해 "합리적인 의심이 아닌, 객관적 근거 없이 '무속 프레임'을 씌우고 가짜뉴스로 민주주의가 훼손되는 것을 방치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미 공지한 바와 같이 경호처장은 천공에 대해 전혀 일면식이 없다"며 "그러니 함께 참모총장 공관을 방문할 일 또한 더더욱 없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의 캄보디아 순방 당시 사진을 놓고 '최소 2∼3개의 조명을 동원한 콘셉트 촬영'이라고 지적한 더불어민주당 장경태 최고위원을 고발한 것이 시작이다. 대통령실은 당시 김 여사 주변에 자연광과 실내등만 있었다는 사실을 입증할 사진 6∼7장을 수사기관에 제출할 예정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 측은 "법적 조치를 안 하니 팩트인 것처럼 계속 회자되고 소모적인 논쟁이 이어졌다"며 "너무 손쉽게 아무 의혹이나 제기하는 분위기에 경종을 울리고자 한다"고 했다.

대통령실이 뉴스 대응에 대해 '재갈 물리기'를 한다는 주장에 대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의혹 제기는 누구나 할 수 있다"면서도 "정당하고 합리적인 근거에 따른 것이라면 (가능하다)"이라고 답했다. 그는 "근거가 전혀 없이, 누군가를 모함하기 위해, 낙인찍기 위한 가짜뉴스는 그 발언의 책임을 지는 조건이 선제돼야 함을 국민 여러분이 더 잘 아실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