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7일 오후 한일시멘트 단양공장 앞 도로에 세워져 있는 화물연대 파업 조합원의 벌크시멘트트레일러(BCT)에 집단운송 거부행위 조사개시 통지서와 주차위반 경고문이 부착돼 있다. 연합뉴스 |
화물연대 운송거부사태가 지속되면서 정부가 8일 임시 국무회의를 열고 시멘트에 이어 추가로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할 전망이다. 추가 업무개시명령 대상은 철강과 석유화학 분야가 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이 회의에서 철강, 정유, 석유화학 등 산업계 피해를 면밀히 검토하고 현 상황이 국가 경제에 심각한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언제라도 추가 업무개시명령을 내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논의 내용에 따라 임시 국무회의가 결정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정부는 이날 오후 추경호 경제부총리 주재로 관계장관 상황점검회의를 열고 화물연대 운송거부와 관련한 산업계 분야별 피해를 점검했다. 다만 대통령실 측은 "추가 업무개시명령이 있기 전 화물연대의 조속한 복귀를 거듭 촉구한다"고 전했다.
이같이 정부가 강경 대응에 나선 것은 화물연대의 집단운송거부 사태가 14일을 넘기면서 산업 전반에 피해가 누적되고 있기 때문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4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관련 관계장관 대책회의를 주재하며 "정유, 철강 등 추가 피해가 우려되는 업종은 즉시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할 수 있도록 준비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
특히 석유화학의 경우 현재 수출물량의 평소 5% 수준에 불과하고, 철강 분야 출하량도 평소의 50% 수준에 머무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추가 업무개시명령은 철강 분야 석유화학 분야 운송거부자에 우선으로 내려질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다만 정유 부문은 정부의 업무개시명령 발동 이후 상황이 나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