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석유화학 생산차질 우려에 정부, 추가 업무개시명령 발동 할듯

  • 정재훈
  • |
  • 입력 2022-12-08  |  수정 2022-12-07 17:57  |  발행일 2022-12-08 제4면
2022120701000239300009191
7일 오후 한일시멘트 단양공장 앞 도로에 세워져 있는 화물연대 파업 조합원의 벌크시멘트트레일러(BCT)에 집단운송 거부행위 조사개시 통지서와 주차위반 경고문이 부착돼 있다. 연합뉴스

화물연대 운송거부사태가 지속되면서 정부가 8일 임시 국무회의를 열고 시멘트에 이어 추가로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할 전망이다. 추가 업무개시명령 대상은 철강과 석유화학 분야가 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이 회의에서 철강, 정유, 석유화학 등 산업계 피해를 면밀히 검토하고 현 상황이 국가 경제에 심각한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언제라도 추가 업무개시명령을 내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논의 내용에 따라 임시 국무회의가 결정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정부는 이날 오후 추경호 경제부총리 주재로 관계장관 상황점검회의를 열고 화물연대 운송거부와 관련한 산업계 분야별 피해를 점검했다. 다만 대통령실 측은 "추가 업무개시명령이 있기 전 화물연대의 조속한 복귀를 거듭 촉구한다"고 전했다.

이같이 정부가 강경 대응에 나선 것은 화물연대의 집단운송거부 사태가 14일을 넘기면서 산업 전반에 피해가 누적되고 있기 때문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4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관련 관계장관 대책회의를 주재하며 "정유, 철강 등 추가 피해가 우려되는 업종은 즉시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할 수 있도록 준비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

특히 석유화학의 경우 현재 수출물량의 평소 5% 수준에 불과하고, 철강 분야 출하량도 평소의 50% 수준에 머무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추가 업무개시명령은 철강 분야 석유화학 분야 운송거부자에 우선으로 내려질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다만 정유 부문은 정부의 업무개시명령 발동 이후 상황이 나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