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종섭 국방부 장관(가운데)이 지난달 28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오른쪽 두 번째는 김승겸 합동참모의장. 연합뉴스 |
![]() |
더불어민주당 김병주 의원이 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북한 무인기 침투 사건 관련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대통령실이 6일 야당 등 북한 무인기 사태에 따른 군 당국 문책론이 나오는 데 대해 "아직 (군의) 전비태세검열이 진행 중"이라며 최종 결과가 나와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브리핑에서 '이번 사태에 책임을 져야 한다는 얘기가 많다'는 취재진 지적에 "최종 결과가 나오면 (윤석열 대통령이) 종합적으로 상황을 보고 판단하지 않겠는가"라며 이같이 답했다.
이 관계자는 '군 당국의 내부 감찰이 어느 선까지 진행되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감찰과 관련해 구체적으로 더 말씀드리긴 어렵다"고 말을 아꼈다. 다만 북한 무인기가 용산 대통령실 일대에 설정된 비행금지구역(P-73)에 진입한 데 따른 경호 실패 지적에는 "비행금지구역과 경호 구역은 전혀 다르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더불어민주당 김병주 의원이 지난달 합참에서 보고한 비행궤적을 토대로 종로·동대문·광진·남산 일대까지 무인기의 침범 가능성을 제기한 것과 관련한 것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해서 여권은 김 의원과 '북한 내통설'을 제기한 바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관련 질문에 "김 의원은 추정한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그러면 스스로가 확실한 판단 없이 언론에 공개하는 게 적절했느냐"라며 "그렇기 때문에 거짓말이거나 정보를 받은 게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한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어제와) 같은 입장이다. 거기에 더 추가적인 입장을 밝히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고 덧붙였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전날 브리핑에서 김 의원을 향해 "국방부도 합참도 모르는 정보를 어디에서 입수한 것인지 자료의 출처에 대해 당국에서 의문을 품고 있다"고 말했다. 이후 국민의힘에선 그 출처로 북한 당국을 의심하는 주장을 했다.
이와 관련, 김 의원은 "지도를 볼 줄 아는 서울시민이면 알 수 있는 사항"이라며 '북한 내통설'을 일축한 바 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