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리 인상 및 부동산·주식 시장 부진이 겹치면서 지난해 은행권 가계대출이 18년 만에 처음 줄었다.
1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자료를 보면, 작년 12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천58조1천억원으로 1년 전보다 2조6천억원 줄었다. 연간 가계대출이 감소한 것은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04년 이후 18년 만에 처음이다. 1년 동안 주택담보대출(전세자금대출 포함)은 20조원 늘었지만,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에서 22조8천억원이 급감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금리가 높아진데다 가계대출 관련 규제도 지속되면서 가계대출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며 "금리 인상과 규제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가계대출 안정세가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의 '가계대출 동향'을 살펴보면 은행을 포함한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은 지난해 8조7천억원 감소했다. 2015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첫 감소다. 주택담보대출에서 27조원 늘었지만, 기타대출이 35조6천억원 줄었다. 업권별로는 은행권에서 2조7천억원, 제2금융권에서 5조9천억원 각각 감소했다.
하지만 은행 기업대출은 지난해 104조6천억원 늘어난 1천170조3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증가액은 2021년(89조3천억원)보다 15조3천억원 많았고, 코로나19 발생 첫 해인 2020년(107조4천억원)과 비슷한 규모다.
은행의 수신(예금·작년 12월말 잔액 2천243조5천억원)은 지난해 107조4천억원 늘었다. 정기예금이 200조1천억원 급증한 반면 수시입출식예금에선 104조9천억원이 빠져나갔다. 금리가 높은 정기예금 쪽으로 자금이 이동한 탓이다. 지난해 정기예금 증가 폭(200조1천억원)은 2002년 통계 작성 이후 20년 만에 최대 기록이다.
지난해 12월 한 달 동안에만 예금은행 가계대출은 3천억원 늘었다. 같은 해 9월 이후 넉 달만의 반등으로 전세자금 수요 부진에도 집단대출과 안심전환대출을 중심으로 주택담보대출이 3조1천억원 증가했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김형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