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비자들의 물가 전망치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이 각종 공공요금 인상 등 영향으로 상승폭을 키웠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대인플레이션율은 12월(3.8%)보다 0.1%포인트 높은 3.9%로 집계됐다.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지난해 7월 4.7%로 역대 최고치를 찍은 이후 4%대에서 오르내리기를 반복하다가, 지난달 처음 3%대로 떨어졌으나 다시 소폭 상승했다.
한은 관계자는 "농·축·수산물이나 석유류 가격이 안정된 흐름을 보이는 데 반해 1월 전기요금이 오르고, 상반기 중 교통 요금이 상승할 것이라는 뉴스들이 나오면서 소비심리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현재와 비교해 6개월 후 금리' 전망인 1월 금리수준전망지수는 132로 12월보다 1포인트 떨어졌다. 금리 하락보다 상승을 예상한 응답이 전달보다 소폭 줄어든 셈이다.
1월 주택가격전망지수(68)는 12월보다 6포인트 올랐다. 주택가격전망지수는 지난해 7∼11월까지 5개월 연속 역대 최저 기록을 갈아치우다 지난해 12월·올해 1월엔 두 달 연속 상승했다.
1월 전체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0.7로 12월(90.2)보다 0.5포인트 상승했다. CCSI는 지난해 9월 91.6, 10월 89.0, 11월 86.7로 2개월 연속 하락하다 12월 반등해 2개월 연속 상승세다.
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중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등 6개 주요 개별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지표다. 100보다 높으면 장기평균(2003∼2022년)과 비교해 소비 심리가 낙관적, 100을 밑돌면 비관적이라는 의미다.
12월과 비교해 가계수입전망(96·+1p), 소비지출전망(110·+2p)은 상승했다. 생활형편전망(85), 현재경기판단(51)은 전월과 같았고, 현재생활형편(82·-1p), 향후경기전망(60·-2p)은 하락했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김형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