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 여파로 민간소비가 줄고, 글로벌 수요 둔화에 따른 수출 부진이 이어지면서 지난해 4분기 우리나라 경제가 2년 반 만에 역성장했다.
26일 한국은행은 2022년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 대비·속보치)이 -0.4%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코로나19 여파가 본격화했던 2020년 2분기(-3.0%) 이후 10분기 만이다. 분기별 성장률은 코로나19 발생과 함께 2020년 1분기(-1.3%)와 2분기(-3.0%)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3분기(2.3%)엔 플러스로 전환했다.
4분기 역성장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한국경제는 연간 2.6% 성장했다. 이는 당초 한은 전망치와 같은 것으로 2021년(4.1%)에 이어 2년 연속 성장세다.
지난해 4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2분기(2.9%)와 3분기(1.7%) 살아났던 민간소비가 다시 감소세(-0.4%)로 돌아섰다. 재화(가전제품, 의류 및 신발)와 서비스(숙박음식, 오락문화 등) 소비가 줄어든 탓이다.
설비투자는 2.3% 늘어나는 데 그쳐 3분기(7.9%) 대비 증가 폭이 크게 감소했다. 수출은 반도체와 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5.8% 줄었고, 수입은 원유와 1차 금속제품 등이 줄면서 4.6%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지난해 4분기 정부 소비는 물건비, 건강보험 급여비 지출을 중심으로 3.2% 증가해 3분기(0.1%) 대비 증가 폭을 키웠다.
4분기 경제 성장률에 대한 기여도는 민간소비가 -0.2%포인트, 순수출이 -0.6% 포인트로 집계됐다.
반면 정부 소비 기여도는 0.6%포인트, 건설투자 0.1%포인트, 설비투자 0.2%포인트 등이다. 민간의 성장률 기여도는 -1.1%포인트, 정부는 0.8%포인트로 나타나 정부 소비 등이 성장률 추가 하락을 막은 것으로 분석됐다.
작년 4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실질 GDP의 감소(-0.4%)에도 불구, 교역조건이 개선되면서 0.1% 증가했다. 하지만 유가 상승 등 교역조건 악화로 지난해 연간 실질 GDI는 전년 대비 1.1% 감소해 실질 GDP 성장률을 밑돌았다. 실질 GDI는 2019년 0.1% 감소한 뒤 2020년(0.0) 제자리걸음을 했고, 2021년에는 3.1% 증가했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김형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