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준, 기준금리 0.25% 인상…이달 23일 한은 금통위의 선택은?

  • 김형엽
  • |
  • 입력 2023-02-02 11:12  |  수정 2023-02-02 11:12  |  발행일 2023-02-02
2023020201000075100002351


2023020201000075100002352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베이비스텝을 밟으며 금리 인상 속도 조절에 나서면서 오는 23일 기준금리 결정을 앞둔 한국은행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상승폭을 키운 물가와 미국과 금리 격차를 고려하면 인상이 필요하지만 경기침체가 빠르게 확산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미 연준은 1월 31일∼2월 1일(현지시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 목표 범위를 4.25∼4.50%에서 4.50∼4.75%로 0.25%포인트 올렸다. 지난해 6·7·9·11월 4연속 자이언트 스텝(한번에 0.75% 포인트 인상) 이후 12월 빅 스텝(0.50%포인트 인상)에 이어 보폭을 줄었지만, 한국(3.50%)과 미국(4.50∼4.75%) 기준금리 격차는 1.00∼1.25%포인트로 벌어졌다.

지난해 12월 점도표를 보면 올해 미국 금리 전망치는 5.00~5.25%(중간값 5.1%)다. 현재 수준(4.50∼4.75%)을 기준으로 0.25%포인트씩 두 차례 추가 인상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파월 의장도 이날 "두어 번(couple)의 금리 인상이 더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달 13일 우리나라 최종금리 수준에 대해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회의에서 3명은 최종금리 수준을 3.50%로 봤고, 3명은 3.75%까지 열어두자는 의견이었다"고 전했다.

한은과 연준이 만약 각 3.50%, 5.00%에서 기준금리 인상을 멈추면 격차는 역대 최대 수준인 1.50%포인트에 이른다. 한국 경제는 상당 기간 외국인 자금 유출과 원화가치 절하(원·달러 환율 상승) 압력을 받게 된다.

한미 금리차 확대 뿐 아니라 주요 긴축 요인인 물가도 다시 들썩이고 있다. 올해 1월 소비자물가는 작년 같은 달보다 5.2% 올랐다. 작년 5월(5.4%) 이후 9개월째 5%대를 이어가고 있을 뿐 아니라 최근 둔화세를 보이다 0.2%포인트 오르며 상승세로 돌아섰다.

특히 전기·가스·수도가 28.3%나 급등했고, 교통 및 도시가스요금 등이 줄인상 예정된 만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빠르게 떨어지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문제는 오는 23일 예정된 한은 금통위에서 물가 상승과 금리 격차가 더 커지기 전에 기준금리를 인상해야 하지만 최근 역성장인 탓에 조심스러운 상황이다.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전분기 대비)은 수출 부진 등에 지난해 4분기 마이너스(-0.4%)로 돌아섰고, 심지어 올해 1분기까지 역성장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지난달 말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0.2%포인트 올리면서도 한국의 경우 오히려 2.0%에서 1.7%로 낮췄다. 한은도 오는 23일 발표할 수정 경제 전망에서 기존 성장률(1.7%)을 하향 조정할 가능성이 크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기자 이미지

김형엽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