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이 2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4차 수출전략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 |
배우 박성웅이 2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4차 수출전략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이 23일 올해 수출액 목표를 전년보다 0.2% 늘어난 6천850억 달러로 제시하며 전 부처의 총력 대응체계 구축을 지시했다.
또한 드라마와 웹툰 등 K-콘텐츠와 연계를 통해 수출과 관광을 늘릴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제4차 수출전략회의'를 주재하고 "고금리 등 복합 위기를 돌파하는 방법은 오로지 수출과 스타트업 활성화"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회의는 올해 분야별 수출 여건을 점검하고 수출 활성화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올해 수출을 지난해보다 증가시키는 '수출 플러스'를 달성하자는 것이 골자로 주요 장·차관들과 대통령실 참모들 외 민간 기업 임원들도 함께 자리했다.
윤 대통령은 "각 부처의 수출 전략을 면밀하게 점검하고 개별 부처를 넘어 범부처간 협력을 통해 수출 기업을 지원해야 한다"며 "제가 직접 주재하는 수출전략회의와 함께 원스톱 수출 수주 지원단을 통해 기업 애로 사항을 바로바로 해결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대한민국 1호 영업사원'임을 자처하며 "모든 외교의 중심을 경제와 수출에 놓고 최전선에서 뛰겠다"고 약속했다.
정부는 ▲ 2023년 수출 여건 및 범정부 수출확대 전략(산업부) ▲ 농식품·해양수산 분야 수출확대 전략(농식품부·해수부) ▲ K-콘텐츠 수출 전략(문화부)을 각각 보고했다.
산업부는 범정부 수출지원사업에 1조 5천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무역금융 공급 규모도 역대 최대인 362조 5천억원까지 확대한다. 또 각 부처마다 1급 공무원인 '수출·투자책임관'을 지정해 수출 목표 이행 상황을 점검할 계획이다.
특히 원전, 방산, 해외건설·플랜트·녹색산업 4개 분야를 '수주전략산업'으로, 농수산식품(농식품·수산식품·스마트팜), 디지털산업(ICT서비스·콘텐츠·에듀테크), 바이오헬스(의약품 및 의료기기·화장품) 8개 분야를 '수출유망산업'으로 지정·육성한다.
농림축산부와 해수부는 지난해 120억달러 수준이었던 'K-푸드' 수출액을 2027년까지 200억달러로 확대하고 국내 식품 산업에서 K-푸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9.5%에서 13%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K-콘텐츠 수출 전략도 논의됐다. 문체부는 'K-콘텐츠'를 제조업에 이은 한국의 메인 수출 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내년까지 정책금융 1조원을 조성하고, 해외거점을 대폭 늘려 K-콘텐츠 수출 기반을 콘텐츠 해외거점을 현재 10곳에서 15개로 확충하고 금융 지원을 통해 콘텐츠 업계의 자금 부족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윤 대통령은 "K-콘텐츠가 세계적 인기를 얻으면서 수출 규모가 늘어나고 전후방 연관 효과까지 고려하면 엄청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며 "관계 부처는 K-콘텐츠를 패션, 관광, 식품 IT까지 연계해 고부가 가치화하는 데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정부는 현재 K콘텐츠 수출은 중화권과 일본 수출이 50% 이상인 상황에서 기존 시장을 대체할 북미와 유럽, 중동 시장을 집중적으로 공략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는 K-콘텐츠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CJ ENM, 중견 게임사 크래프톤, 인기 드라마 '재벌집 막내아들' 제작사인 래몽래인 임원들과 배우 박성웅 등이 참석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