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이 28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전략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 |
윤석열 대통령이 28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전략 회의에 앞서 큐렉소의 자동형 인공관절 수술로봇을 관람하고 있다. 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이 28일 바이오헬스를 반도체 산업과 같은 '국가핵심 전략 산업'으로 키우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주재한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전략 회의'에서 "바이오헬스의 세계 시장규모가 2천600조원에 달하고 성장 잠재력이 크다"며 이같이 밝혔다.
회의에서는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을 보고했으며, 윤 대통령은 정부의 과감한 혁신과 투자를 지시했다.
신시장 창출 전략으로는 ▲ 의료·건강 돌봄 서비스 혁신 ▲ 바이오헬스 수출 활성화 ▲ 첨단 융복합 기술 연구개발 강화 ▲ 바이오헬스 전문인력 양성 및 창업 지원 강화 ▲ 법·제도 인프라 구축 등이 제시됐다. 보고 후에는 민간 전문가들과 토론도 함께 진행됐다.
바이오헬스 산업에 대해 윤 대통령은 "국민건강을 지키는 동시에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의료·건강·돌봄 서비스 등을 디지털 기반으로 전환해 세계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집중 투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벤처 기업과 청년들이 바이오헬스 분야를 주도할 수 있도록 한국판 '보스턴 클러스터' 조성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설명했다. 미국의 보스턴에는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과 연구소,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하버드대학 등 주요 대학과 벤처기업 등이 밀집해 있다.
또한 바이오헬스 성장에는 '데이터 활용'이 필요하다면서 관련 제도 개선도 당부했다. 윤 대통령은 "민감한 개인정보를 가명 정보화, 비식별화해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도 바이오헬스 경쟁력을 키울 수 있도록 국회에 계류된 '디지털헬스케어법'의 조속한 처리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회의에 앞서 인공관절 수술 로봇, 척추 측만증 보조기 등 로봇 의료 제품과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를 둘러봤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