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대구시장의 재산이 지난해보다 1억4천여만 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18억534만원으로, 3억3천988만원이 줄었다.
강은희 대구시교육감의 재산은 40억원 가까이 증가해 눈길을 끌었다.
30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의 재산등록사항 공개 자료에 따르면, 홍 시장은 39억5천373만8천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이는 지난해보다 1억4천253만3천원이 줄어든 수준이다.
홍 시장은 부인과 공동으로 서울 송파구 잠실동의 아파트 한 채를 보유했다. 해당 아파트는 21억4천736만3천원으로 평가됐다. 또 홍 시장이 대구에 보유하고 있는 5억9천만원 상당의 전세 아파트(수성구 상동)는 계약이 만료된 것으로 확인됐다. 돌려받은 보증금 중 3억원은 본인의 금융 채무 상환에 사용했고, 2억1천여만 원은 예금으로 전환했다.
이철우 도지사는 배우자 명의의 서울 전세 아파트 계약 해지금액 5억원과 배우자 자산 5천만원을 합친 5억5천만원의 채권이 발생한 게 재산 감소의 요인이다.
강 교육감은 올해 125억7천518만9천원을 신고했다. 지난해보다 무려 39억5천712만3천원이 증가했다. 강 교육감의 재산이 큰 폭으로 늘어난 데는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주>위니텍 비상장 주식(186만9천750주) 평가액이 상승한 게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위니텍은 과거 강 교육감이 대표이사로 있던 재난관제 시스템 구축 관련 IT 기업이다. 강 교육감은 지난해에도 전년 대비 41억9천여만 원 늘어난 재산을 신고했다. 당시에도 위니텍의 비상장 주식 가치가 39억5천여만 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이에 따라 강 교육감의 재산은 2년 만에 80억원 가까이 불어난 셈이다.
대구 기초 단체장 중에선 최재훈 달성군수가 지난해보다 85만원 감소한 85억1천여만 원을 신고해 가장 많았다. 대구시의원 중에선 김재용(북구3·국민의힘) 시의원이 62억5천600여만 원으로 재산이 가장 많았다.
대구시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 재산공개대상자 127명 가운데 최고 신고액은 김순란(북구가·국민의힘) 북구의원으로 122억1천500여만원이다.
경북지역 100억원대 재산가는 박영서 경북도의원(173억8천554만원), 김용현 경북도의원(169억5천260만원), 박남서 영주시장(144억1천719만원)으로 나타났다.
윤석열 대통령은 76억9천725만9천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윤 대통령 본인 재산은 예금 5억3천739만원이며, 서울 서초동 아크로비스타 주택을 비롯해 부동산·예금 대부분이 김건희 여사 명의였다.
대통령실의 경우 수석비서관급 이상 참모진 중에는 김은혜 홍보수석이 264억9천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김태효 안보실 1차장 131억1천만원, 이관섭 국정기획수석 75억원, 김대기 비서실장 73억5천만원, 안상훈 사회수석 68억4천만원 순이었다.
내각에서는 한덕수 국무총리가 85억2천만원으로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했다. 장관 중에선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48억7천만원을 신고했다. 세계 최초로 3D 반도체 기술인 벌크 핀펫을 개발한 반도체 공학 석학으로, 특허 수입이 많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조성명 서울 강남구청장은 532억6천만원을 신고해 재산공개 대상자 가운데 가장 많은 재산을 보유했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민경석기자 mean@yeongnam.com
강은희 대구시교육감의 재산은 40억원 가까이 증가해 눈길을 끌었다.
30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의 재산등록사항 공개 자료에 따르면, 홍 시장은 39억5천373만8천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이는 지난해보다 1억4천253만3천원이 줄어든 수준이다.
홍 시장은 부인과 공동으로 서울 송파구 잠실동의 아파트 한 채를 보유했다. 해당 아파트는 21억4천736만3천원으로 평가됐다. 또 홍 시장이 대구에 보유하고 있는 5억9천만원 상당의 전세 아파트(수성구 상동)는 계약이 만료된 것으로 확인됐다. 돌려받은 보증금 중 3억원은 본인의 금융 채무 상환에 사용했고, 2억1천여만 원은 예금으로 전환했다.
이철우 도지사는 배우자 명의의 서울 전세 아파트 계약 해지금액 5억원과 배우자 자산 5천만원을 합친 5억5천만원의 채권이 발생한 게 재산 감소의 요인이다.
강 교육감은 올해 125억7천518만9천원을 신고했다. 지난해보다 무려 39억5천712만3천원이 증가했다. 강 교육감의 재산이 큰 폭으로 늘어난 데는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주>위니텍 비상장 주식(186만9천750주) 평가액이 상승한 게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위니텍은 과거 강 교육감이 대표이사로 있던 재난관제 시스템 구축 관련 IT 기업이다. 강 교육감은 지난해에도 전년 대비 41억9천여만 원 늘어난 재산을 신고했다. 당시에도 위니텍의 비상장 주식 가치가 39억5천여만 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이에 따라 강 교육감의 재산은 2년 만에 80억원 가까이 불어난 셈이다.
대구 기초 단체장 중에선 최재훈 달성군수가 지난해보다 85만원 감소한 85억1천여만 원을 신고해 가장 많았다. 대구시의원 중에선 김재용(북구3·국민의힘) 시의원이 62억5천600여만 원으로 재산이 가장 많았다.
대구시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 재산공개대상자 127명 가운데 최고 신고액은 김순란(북구가·국민의힘) 북구의원으로 122억1천500여만원이다.
경북지역 100억원대 재산가는 박영서 경북도의원(173억8천554만원), 김용현 경북도의원(169억5천260만원), 박남서 영주시장(144억1천719만원)으로 나타났다.
윤석열 대통령은 76억9천725만9천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윤 대통령 본인 재산은 예금 5억3천739만원이며, 서울 서초동 아크로비스타 주택을 비롯해 부동산·예금 대부분이 김건희 여사 명의였다.
대통령실의 경우 수석비서관급 이상 참모진 중에는 김은혜 홍보수석이 264억9천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김태효 안보실 1차장 131억1천만원, 이관섭 국정기획수석 75억원, 김대기 비서실장 73억5천만원, 안상훈 사회수석 68억4천만원 순이었다.
내각에서는 한덕수 국무총리가 85억2천만원으로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했다. 장관 중에선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48억7천만원을 신고했다. 세계 최초로 3D 반도체 기술인 벌크 핀펫을 개발한 반도체 공학 석학으로, 특허 수입이 많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조성명 서울 강남구청장은 532억6천만원을 신고해 재산공개 대상자 가운데 가장 많은 재산을 보유했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민경석기자 mean@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
정재훈
서울본부 선임기자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
민경석
민경석 기자입니다. 제보를 기다립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