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일 오전 수험생들이 대구 수성구 대구여고에 설치된 고사장으로 입장하며 발열체크를 하고 있다. 영남일보 DB |
![]() |
대구 달서구청 청사 1층 로비에 설치돼 있는 손소독기. 달서구 제공 |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각종 방역 장비들이 거리 두기 해제 이후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이들 장비를 보관·활용하기 위한 명확한 지침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0일 대구 각 구·군청에 따르면, 비접촉 열화상 카메라의 경우엔 평균 구입 가격이 300만원 수준이다. 또 알코올 성분의 소독액을 살포하는 손 소독기는 대당 38~40만원 수준이다. 수성구청이 구입한 비접촉 열화상기는 총 30대. 평균 가격을 대입할 경우 총 구매 가격은 9천여만원에 이른다. 수성구청은 손 소독기 3대도 보유하고 있다.
북구보건소는 활용도가 떨어진 열화상 카메라 등 방역 장비를 엑스코 등 많은 인파가 찾는 기관에 한때 빌려줬다. 지금은 방역지침 등이 완화되면서 임차해 준 장비를 회수했다.
상대적으로 청사 내 유휴공간이 있는 지자체는 창고 등을 활용해 방역물품을 보관하고 있다. 공간 부족이 심각한 일부 지자체의 경우엔 각 과(科)마다 탕비실 등 사무실 내 공간을 할애하는 곳도 허다하다.
다만, 지역 지자체에선 추후 전염병 발생 등을 고려해 방역물품을 당장은 불용처리하지는 않기로 했다. 또 방역 외에 활용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내구연한이 짧은 마스크·손소독제의 경우엔, 일부 지자체가 의무 비축량을 제외한 전량을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배분하거나, 시설 등에 기부한 것으로 전해진다.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로 어려웠던 시기 의무적으로 구매한 자영업자 사이에서도 방역물품은 골칫거리다. 현재는 중고거래도 마땅치 않는데, 오히려 대용량 폐기물로 분류돼 처분을 위해선 사비를 들여야 해서다.
프랜차이즈 카페 업주 A씨는 "QR 인증기나 열 체크기 등 방역물품은 사실 코로나 당시 구매가 '강제'된 경향이 없지 않다. 처분 또한 업주 스스로 해야만 했다"고 토로했다.
모 구청 관계자는 "열화상 감지기 등 방역물품은 구매한 부서별로 관리하고 있다"며 "많은 예산을 들여 구매했으나 현재 활용도가 없고, 관리도 마땅치 않다. 관리든, 폐기든 부담을 지자체나 자영업자에게 전가할 게 아니라, 정부 차원의 지침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다.
양승진기자 promotion7@yeongnam.com

양승진
먼저 가본 저세상 어떤가요 테스형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