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일본 히로시마 그랜드 프린스 호텔에서 열린 G7 정상회의 확대세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
![]() |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일본 히로시마 그랜드 프린스 호텔에서 열린 G7 정상회의 확대세션에 참석하고 있다. 오른쪽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왼쪽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데뷔전'에서 식량·바이오·기후문제 등 글로벌 이슈에 대해 비전을 제시하며 한국도 책임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은 19~21일 일본 히로시마에서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했다. 우리나라 정상의 G7 정상회의 참석은 이번이 네번째로 윤 대통령은총 3개의 확대회의에 참석했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일본 한 호텔에 마련된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통해 "다자외교에서 윤 대통령의 발언은 A(Agriculture·농업), B(Bio·바이오), C(Climate·기후)로 나눌 수 있다"며 "글로벌 중추 국가로서 G7과 연대·협력해 취약국과 개발도상국을 지원해 나간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식량·보건·개발·젠더를 주제로 진행된 첫 세션에서 윤 대통령은 "기아와 질병으로부터의 자유 확대에 동참하겠다"며 "식량 위기국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유엔 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한 식량 위기 국가에 대한 지원을 매년 5만톤에서 10만톤으로 2배 확대하기로 했다는 점을 들었다. 또한 윤 대통령은 "식량 위기국에 대한 단기적 지원으로는 아세안+3(한국, 일본, 중국) 비상 쌀 비축제(APTERR)를 확대·발전시킬 것"이라는 점과 한국의 쌀 자급 경험을 아프리카에 전수하는 K-라이스 벨트 구축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기후변화를 비롯한 녹색기술과 관련해서도 국제적 연대와 협력 강화를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두 번째 확대회의에서 "기후 문제 해결을 위한 G7의 노력에 적극 보조를 맞춰나갈 것"이라고 밝히며 G7이 주도하는 기후클럽에 참여하겠다고 선언했다. 나아가 윤 대통령은 그린 ODA(공적개발원조) 확대도 강조하며 녹색기후기금(GCP)의 재원 보충에도 국제사회가 동참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보건 분야에서는 감염병혁신연합에 2천400만달러(약 318억원) 공여를 새롭게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21일 확대세션에선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를 겨냥해 국제규범과 국제법을 위반해 '힘에 의한 현상 변경'을 시도하고 있다며 국제사회가 이를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G7 정상들은 이번 히로시마 회의에서 공동성명을 통해 북한이 전례 없는 빈도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는 것을 규탄한 바 있다. 또 공동성명에서는 중국의 영향력 확대에 대한 경고와 우려를 담았을 뿐 아니라 경제적 강압 조정 기구 신설과 같은 중국 압박 조치를 포함해 견제 의지를 공고히 했다. G7 정상들은 전날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별도 성명을 내고 러시아를 규탄한 바 있는 만큼, 이번 회의를 통해 주요 국가들과 중국-러시아-북한 등이 대립하는 '신냉전' 체제를 여실히 보여준 것이란 평가도 나온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