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대출이 1년5개월 만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5대 시중은행의 지난달 말 가계대출 잔액이 677조6천억원으로, 전월 대비 1천400억원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은행의 통화 긴축 영향으로 2년 가까이 이어져 온 디레버리징(부채축소)의 흐름이 멈춘 셈이다. 가계 부채 비율이 지난해 대비 3.3%포인트 낮아졌다고는 하나 여전히 세계 최고인 만큼 가계대출 증가세 반전은 우리 경제에 상당한 불안 요인이 되고 있다. 가계 부채 관리에 경고등이 켜진 셈이다.
우리나라 가계 부채는 GDP(국내총생산) 대비 102%로, 세계 주요국 가운데 가장 높다. 가계 부채가 GDP를 넘어선 유일한 국가다. IMF(국제통화기금)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등 국제 금융기구들이 한국의 가계 부채 위험성을 잇따라 경고하고 나선 것도 이 때문이다. IMF는 지난달 보고서에서 한국을 기업 및 가계 부채 위험 국가로 콕 집어 발표했다. IMF는 "가계는 벌어들인 돈의 13% 이상을 빚과 이자를 갚는 데 썼고, 기업 부채의 22%는 디폴트 위험에 놓여 있다"고 경고했다.
고금리 속의 대출 증가는 부실화할 공산이 크다. 소상공인을 비롯한 자영업자 대출도 이미 1천조 시대다. 부실 대출은 가계뿐 아니라 금융권 부실로 이어진다. 이미 올 들어 은행권은 물론, 신협과 새마을금고, 저축은행의 부실 채권 비율이 급격히 올라가고 있다. 가계부채 증가는 가처분소득 감소를 불러와 소비 침체 등 경기 위축을 가속화한다. 경기 확장 때면 대출의 건전성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무역적자가 지속되는 등 불황 속의 대출 증가는 위험 신호로 받아들여진다. 관계 당국이 가계 부채의 뇌관이 터지기 전 대책을 서둘러야 할 이유다.
우리나라 가계 부채는 GDP(국내총생산) 대비 102%로, 세계 주요국 가운데 가장 높다. 가계 부채가 GDP를 넘어선 유일한 국가다. IMF(국제통화기금)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등 국제 금융기구들이 한국의 가계 부채 위험성을 잇따라 경고하고 나선 것도 이 때문이다. IMF는 지난달 보고서에서 한국을 기업 및 가계 부채 위험 국가로 콕 집어 발표했다. IMF는 "가계는 벌어들인 돈의 13% 이상을 빚과 이자를 갚는 데 썼고, 기업 부채의 22%는 디폴트 위험에 놓여 있다"고 경고했다.
고금리 속의 대출 증가는 부실화할 공산이 크다. 소상공인을 비롯한 자영업자 대출도 이미 1천조 시대다. 부실 대출은 가계뿐 아니라 금융권 부실로 이어진다. 이미 올 들어 은행권은 물론, 신협과 새마을금고, 저축은행의 부실 채권 비율이 급격히 올라가고 있다. 가계부채 증가는 가처분소득 감소를 불러와 소비 침체 등 경기 위축을 가속화한다. 경기 확장 때면 대출의 건전성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무역적자가 지속되는 등 불황 속의 대출 증가는 위험 신호로 받아들여진다. 관계 당국이 가계 부채의 뇌관이 터지기 전 대책을 서둘러야 할 이유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