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메디바이오 핵심소재 기술개발 및 메디컬 바이오 실용화지원 기반 구축사업 개요 및 협력 체계. 대구시 제공 |
앞으로 암, 당뇨, 심혈관 질환 등 난치성 질환의 새로운 표적 치료제 개발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14일 대구시에 따르면 이번 공모사업 선정으로 오는 2027년까지 국비 100억원을 포함해 총 사업비 159억원이 투입된다. 시는 기업의 연구개발(R&D) 지원과 핵심소재 개발에 필요한 장비 구축 및 전문 인력 양산 등에 본격 나설 계획이다.
수행할 과제는 미래 기술 선도 분야인 △세포소기관의 선택적 자가포식을 제어하는 메디바이오(메디컬바이오에 적용 가능한) 핵심소재 기술개발△메디컬바이오(신약, 코스메슈티컬:화장품+의약품, 건강기능식품)실용화지원 기반 구축이다. 이같은 인프라를 통해 시는 암, 당뇨, 퇴행성 뇌질환, 심혈관 질환 치료제 개발에 전력할 계획이다.
자가포식제어는 세포 안에 들어 있는 신체의 강력한 자기 정화 스위치를 의미한다. 이 기술은 여러 병리 조건에서 손상되거나 불필요한 특정 세포소기관만을 선택적으로 분해·제거해 세포소기관의 양적, 질적 향상성 유지를 위해선 반드시 필요하다. 최근 가장 주목받고 있는 기술이기도 하다.
사업 주관기관은 경북대(생명과학부 조동형 교수)이다.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대구테크노파크 한방뷰티센터, 경기경제과학진흥원 바이오센터, 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 5개 기관이 같이 참여한다.
최운백 대구시 미래혁신성장실장은 "이번 사업 선정을 통해 다양한 난치성 질환의 새로운 표적 치료제 개발의 길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손선우기자 sunwoo@yeongnam.com
손선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