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액생계비(한도 100만원) 대출을 받은 20대 청년 4명 중 1명은 월 1만원도 안되는 이자를 제때 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선 20대 청년들의 무계획 대출을 질타하는 목소리도 있지만 고용 불안과 생활비 부담의 그늘이 짙어지고 있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21일 국민의힘 김희곤 의원실이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 4일 기준 소액생계비 대출을 받은 20대(만 19세 포함)의 이자 미납률은 24.5%다. 대출 건 중 이자 납입일이 도래한 8천931건 중 '정상 납입'이 6천581건, '미납'이 2천190건, '모두 상환'은 160건이었다.
20대의 이자 미납률은 전 연령 중 가장 높았다. 같은 기간 전체 연령대 미납률(14.1%) 대비 2배에 육박한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이자를 제때 갚는 비율이 높았다.
같은 기간 60대와 70대 이상 대출자들의 이자 미납률은 각각 7.4%, 7.2%에 그쳤다. 50대는 9.7%였다. 40대와 30대는 각각 이자 미납률이 13.5%, 17.7%로 파악됐다.
소액생계비 평균 대출 금액(61만원)에 대출 금리(연 15.9%)를 적용해보면 첫 달 이자는 8천원 정도다.
소액생계비를 빌린 20대 청년 상당수가 한 달에 1만원도 안 되는 이자를 내지 못 하고 있는 것이다.
20대 연령층은 직업이 아예 없거나 일정치 않은 경우가 많고 고금리에 생활비 부담마저 커지면서 20대 청년층의 상환 여력 및 의지가 급감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전체 이자 미납률이 상품 출시 초반 8%대에서 최근 14%대까지 꾸준히 증가해온 만큼 20대 미납률은 향후 더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김희곤 의원은 "청년 빚 문제의 심각성과 절박함을 여실히 보여준다"며 "소액생계비 대출의 지속 공급과 함께 채무조정, 취업 지원 등 연계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청년들이 월 1만원도 안되는 이자를 내지 못하는 것은 '안 갚는 것'으로 봐야 한다는 곱지 않은 시각도 있다. 이지영기자 4to11@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