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 수성구 일대 아파트 모습. <영남일보 DB> |
![]() |
![]() |
12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에 따르면 지난 8월 대구·부산·경상권 아파트 입주율은 67.6%로, 전월(65.4%)에 비해 2.2%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71.5%로 전월(68.7%)보다 2.8%포인트 올라 올해 최고치 기록을 경신했다.
수도권 입주율은 82.0%→81.1%로 0.9%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비수도권은 올해 가장 높은 입주율을 보였다.
비수도권의 입주율은 지난 6월 60.4%로 2018년 6월 이래로 역대 최저 입주율을 기록했었다. 하지만 7·8월에 연속 상승(6월 60.4%→7월 65.9%→8월 69.5)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비수도권 중에선 강원권(63.3%→62.0%)을 제외하고 모든 권역에서 상승세다.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이 비수도권으로 확대되면서 소비자들의 부동산 시장 회복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주산연 관계자는 "비수도권 입주율은 여전히 2022년 상반기 이전(2020~2022년 상반기 평균 83.3%)보다 낮은 60~70% 수준이다. 가계부채 취약성과 프로젝트파이낸생(PF) 위기설 등이 완전히 해소되기 전까지 지속적인 시장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미입주 원인은 '기존 주택 매각 지연'(45.1%), '세입자 미확보'(25.5%), '분양권 매도 지연'(13.7%)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분양권 매도 지연'은 지난 7월 대비 9.9%포인트(7월 3.8%→8월 13.7%)나 상승했다. 분양가가 상승세를 보이면서 주택 수요자가 청약시장으로 집중되고, 기존 주택 매매거래량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처럼 분양시장에 온기가 돌면서 9월 대구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84.2로 전월(78.2)보다 6포인트 오를 것으로 예상됐다. 올 들어 80대로 올라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같은 기간 경북의 경우 82.3→88.2로 5.9포인트 상승했다. 이 지수가 100을 넘으면 주택사업자들 사이에서 입주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는 의미다.
이달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95.6로 전월(84.6)보다 11.0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은 107.1로 2021년 7월(119.8)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광역시(85.0→97.4)와 도지역(80.6→90.0)의 수치도 대폭 올라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큰 폭의 상승이 전망됐다.
주산연 관계자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지난해 4월(91.7) 이후 60~80선의 박스권 내에서 횡보하다 이달 95.6으로 90을 돌파했다"며 "주택담보대출 소득 기준 및 대출 한도 완화, 특례보금자리론 등의 영향으로 자금조달이 용이해지고 아파트 미분양 물량 감소 및 청약시장 활성화, 9월 중 금융·인허가 관련 추가 부동산대책이 예견되면서 시장 기대감이 좋아지고 있다. 다만 유가상승을 중심으로 한 물가 상승과 금리상승 가능성 등 여전히 불안 요소가 남아있어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주희기자 jh@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