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일 국립서울현충원 앞에서 포스코 노조 집행부 관계자들이 조정 신청에 앞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포스코노조 제공> |
교섭 결렬을 선언한 포스코 노조가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 신청을 하면서 사상 첫 파업 초읽기에 들어갔다.
한국노총 금속노련 포스코노동조합(이하 포스코 노조)은 10일 오후 중앙노동위원회에 단체교섭 조정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날 조정 신청에 앞서 포스코 노조 집행부 30여 명은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조정 신청과 관련한 기자회견을 열어 "노조원들은 힌남노 태풍으로 물에 잠긴 제철소를 되살리기 위해 일상생활을 포기하고 135일 만에 공장을 정상화하는 기적을 만들었지만, 직원들에 대한 보상은 턱없이 부족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고(故) 박태준 초대회장님은 직원들이 회사 성공에 가장 핵심이라고 생각해 사원 주택단지 조성, 교육재단 설립 등을 했다"며 "특히 초대 회장님은 생애 마지막 연설에서 '회사 설립의 종잣돈이 조상들의 피의 대가였다는 사실과 지역 사회의 이해와 협력이 없었다면 지금의 포스코는 있을 수 없다'는 점을 되새기며, 초대 회장님이 물려주신 포스코의 정신적 유산이 그립다"고 밝혔다.
또한 노조 측은 "반면 현재의 포스코 경영진은 현재 시가 135억 원(2만7천30주)이 넘는 무상 주식 잔치, 비상경영을 외치며 본인들 임금은 직원 대비 수 배에 달하는 임금 인상률 적용, 국민기업, 제철보국을 스스로 저버리며 국민과 지역사회를 외면해 포스코 정신이 후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노조 측은 "더는 무책임한 경영으로 직원과 국민 그리고 지역사회를 외면하는 포스코 경영진을 지켜볼 수 없다"며 "국민기업 포스코가 다시 위대해지길 바라는 전 국민적 염원을 담아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 신청을 했다"고 설명했다.
노조는 기자회견 직후 박태준 초대회장의 묘소를 참배했다.
한편, 포스코 노사는 지난 5월 임금 협상 및 단체협약(이하 임단협) 교섭을 시작해 10월 5일까지 총 24차례 교섭을 진행하였으나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이에 노조 측은 이날 중앙노동위에 조정을 신청했다. 조정 절차에서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하면, 노조는 쟁의권을 확보하고 파업을 할 수 있게 된다.
김기태기자 ktk@yeongnam.com
김기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