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스코홀딩스 CI. |
포스코홀딩스의 3분기 실적이 글로벌 철강 시황 부진으로 다소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스코홀딩스는 4분기에도 철강 업황이 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24일 전자공시시스템에 공개된 포스코홀딩스의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총 19조 원, 영업이익 1조2천억 원, 당기순이익 6천억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 21.2조 원과 비교해 10.4%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33.3%, 당기순이익은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
전년 동기 대비 3분기 영업이익이 급증했지만, 이는 지난해 태풍 힌남노에 따른 기저효과로 큰 의미를 부여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전 분기와 비교해도 매출은 5.5%, 영업이익 7.7%, 당기순이익 25.0% 감소했다.
글로벌 철강 시황 부진에 따른 제품 생산·판매 감소와 판매가격 하락 영향으로 전 분기 대비 이익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포스코 측은 고부가 제품 판매 비율 증가와 원가절감을 통해 철강 사업에서 경쟁력과 효율성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2차전지 소재산업은 리튬 가격 하락 영향을 받았지만, 글로벌 시장 지위 구축을 위한 중장기 투자가 지속되고 있다.
친환경 인프라 부문도 가스전 판매량 증가 등 이익 견조세를 유지했다.
글로벌인프라부문에서는 포스코인터내셔널을 중심으로 미얀마 가스전 판매량 증가 및 여름철 전력 수요 증가로 영업이익이 증가하는 등 견조세를 지속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친 환경차 소재 밸류 체인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면서 "모터코어용 광양 공장 증설과 포스코인터내셔널 및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의 멕시코 모터코어 150만대 공장 준공 등 오는 2030년 700만대 판매체제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포스코홀딩스는 하반기 시황 개선 가능성에 대해 보수적인 입장을 취했다.
엄기천 포스코 마케팅전략실장은 24일 3분기 실적 발표 이후 진행한 컨퍼런스콜에서 "올해 전망을 '상저하고'로 잡았지만, 2분기 정도에 상승하고 3분기부터 약세 전환한 상태"라며 "중국 감산 등이 기대만큼 크게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4분기에도 3분기에 이어 지속 약세를 전망한다"고 밝혔다.
가전 산업과 관련해서는 "시황이 좋지 않아서 4분기에는 일단 가격 동결로 협상을 끝냈다"고 말했다.
김기태기자 ktk@yeongnam.com
김기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