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스코DX가 인공지능 기반의 야생동물 예방·모니터링 시스템 개발했다. 야생동물 출현을 알리는 LED 안내전광판을 한 시민이 살펴보고 있다.<포스코DX 제공> |
포스코DX는 25일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과 협력해 영상인식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야생동물 로드킬 예방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고 26일부터 시범 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 시스템은 도로 구간에 라이더 센서와 스마트 폐쇄 회로(CC) TV를 설치해 도로 위에 출현한 야생동물 감지와 그 종류를 판독하고 모니터링 구간에 설치된 LED 전광판으로 해당 구간을 지나는 운전자에게 알려준다.
이번에 개발된 시스템은 도로환경 등 현장 여건을 분석해 한려해상국립공원 상주·금산 지구 내 약 350m 구간에 시범 적용됐다.
포스코DX는 본격적인 시스템 운영에 앞서 국립공원공단이 보유한 야생동물 영상자료를 제공 받아 딥러닝 함으로써 동물의 감지 및 식별의 정확도를 높였다.
국립공원공단 측은 "시범 운용 결과를 바탕으로 다른 지역 국립공원으로 확대 적용하고 국가보호종에 대한 모니터링 등 국립공원 생태계 보전 활동에도 사용 범위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한편, 포스코DX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해 영상 자동 인식과 분석하는 'Vision(비전) AI'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영상에 포착된 행동(Action)을 인식하고, 객체(Object)를 자동으로 탐지 및 분석함으로써 현장 작업자의 불안정한 행동을 탐지해 사전 조치할 수 있다.
안전관리를 비롯해 제품의 표면 결함을 찾는 품질관리, 택배 등 물류 형태에 따라 자동 분류하는 등의 업무에 활용되고 있다.
김기태기자 ktk@yeongnam.com
김기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