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방공무원과 의용소방대 등 협력단체 회원들이 대구 중구 서문시장에서 화재예방 캠페인을 벌이고 있는 모습. <영남일보 DB> |
최근 5년간 전통시장에서 발생한 화재가 총 285건에 달하면서 소방당국이 맞춤형 화재예방대책을 추진한다.
14일 소방청에 따르면 지난 2018∼2022년 전통시장에서 발생한 화재는 285건으로, 재산피해는 총 820억원에 달했다. 같은 기간 대구지역 전통시장 화재는 15건, 경북은 13건으로 각각 5억6천400만원, 5천600만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전통시장 화재 원인으로는 과부하와 과전류 및 전선 손상 등 전기적 요인이 127건(44.6%)으로 가장 많았고, 음식물 조리 등 부주의 98건(34.4%), 기계적 요인 21건(7.4%) 등 순이다. 시간대별로는 오후 6시~8시 사이에 화재가 가장 많이 발생했고, 인명피해는 점심시간대(12시~14시)에 가장 많이 발생했다. 재산 피해는 심야 시간대(오후 10시~새벽 4시) 발생한 화재가 가장 컸다.
이에 소방청은 전기적 요인과 부주의로 인한 화재와 심야시간대 대형화재 우려가 높은 전통시장 화재 특성을 고려해 맞춤형 화재예방대책을 추진한다.
우선 전통시장별 상인회를 중심 자율소방대를 편성해 영업을 마칠 때 전기차단·가스밸브 잠금 여부 등 안전시설을 확인한다. 대형화재에 취약한 심야시간대에는 예찰 활동을 강화한다. 또한 점포 자율점검을 활성화하고 상인들의 안전의식을 높이기 위해 매주 수요일마다 '안전하기 좋은 날' 캠페인을 실시한다. 시장 상인들은 자율점검표를 활용해 안전 점검을 하고, 소방관서에서는 점포 특성별 화재 안전 컨설팅을 지원한다.
각 시도 소방본부는 적극적으로 자율안전 점검을 지도하고, 경진대회 등 평가를 통해 우수하다고 인정되는 전통시장에는 예산 지원 및 표창 수여 등의 인센티브를 부여할 방침이다. 소방관서에서 전기·가스·건축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화재안전조사를 시행해 화재위험 요인을 사전에 제거하고, 전통시장 화재대응훈련으로 대응 능력을 높일 계획이다.
소방청 관계자는 "전통시장 특성상 작은 불씨가 대형화재로 이어질 위험이 크기 때문에 화재 예방을 위해서는 상인들의 적극적인 화재 예방과 안전 점검 참여가 중요하다"고 했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김형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