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산불 진화를 위해 헬기가 물을 뿌리는 모습. <영남일보 DB> |
관할지역과 관계없이 최근접·최적정 소방헬기를 투입하는 '소방헬기 국가 통합출동'이 대구경북에도 도입된다.
8일 소방청은 각종 위급상황 및 대형재난에 대비한 '소방헬기 국가 통합출동(이하 통합출동) 시범운영'을 확대해 1월 중 대구와 경북지역에 도입한다고 밝혔다.
앞서 소방청은 통합출동 기반 조성을 위해 소방헬기 조종사 및 정비사들로 추진단을 꾸려 시스템 구축 및 관련 법령 개정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해왔다. 2018년 전국 소방헬기 항공보험 통합체결부터 시작해 2020년에는 소방헬기 국가 통합출동 및 통합지휘·조정을 위한 법령개정 등 활동을 추진했다.
이를 기반으로 지난해 4월부터 중앙과 시·도로 이원화된 소방헬기 출동체계를 중앙 차원으로 일원화하는 통합출동 사업을 대전·충북·충남·전북 등 4개 시·도에서 시범 운영했다. 관할지역과 관계없이 사고지역 최근접·최적정 헬기를 신속히 출동시키기 위해서다.
통합출동으로 인해 소방헬기 출동 시간 및 거리는 눈에 띄게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시범운영 기간 4개 시·도의 통합출동 44건을 분석한 결과 단축 시간은 총 610분, 단축 거리로는 1천828㎞로 집계됐다. 출동 1건당 평균 14분이 감축되고, 거리로는 41.5㎞가 단축된 셈이다. 운항 시간 감축으로 연료비 및 소모품 교체·부품 수리 등 헬기를 운용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또한 절감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소방청은 1월 중 통합출동 시범운영 지역을 대구·경북·부산·울산·경남·광주·전남·제주 등 영·호남 지역 8개 시·도로 확대한다. 봄·가을철 산림화재에 대비해 서울과 인천·경기·강원지역에 대해서도 연내 통합출동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윤상기 소방청 장비기술국장은 "소방헬기 통합출동체계는 위급한 상황에서 보다 신속한 출동과 응급환자 이송이 가능해 재난대응능력을 강화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며 "산림화재 등 대규모·특수재난에 대비해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 확대 시행될 수 있도록 제반 사항 정비 등 신속히 추진하겠다"고 했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김형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