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미래 홈페이지 캡처 |
![]() |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7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국민의힘의 비례대표 위성정당 '국민의미래'의 공천을 앞두고, 대구·경북(TK) 인사들이 얼마나 포함될 지 지역 정가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민의미래는 지난 4일 비례대표 국회의원 후보 공모를 시작, 9일 오후 5시 접수를 마감한다. 이후 국민의미래는 서류 심사 및 면접을 통해 중앙선관위가 정한 비례대표 후보자 등록 기간인 22일까지 후보자를 확정할 계획이다.
TK 지역 정치권의 관심은 지역 출신들이 당선권 순번에 얼마만큼이나 배치될 지다. 앞서 20대, 21대 총선 모두 TK 출신 4~5명 정도가 당선권에 들었고, 이후 당선되며 지역구 의원들과 함께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해 뛰었다. 통상 비례대표의 '당선권'은 1번~20번으로 본다.
최근 공천에서는 4~5명 정도의 지역 출신이 이름을 올렸지만, 국민의힘은 당의 열세 지역인 '호남'에 우선 배치를 공식화해 자칫 TK 지역 소외 우려도 나온다. 앞서 국민의힘은 비례대표 후보 20인 중 25%(5명)는 호남지역 인사를 '우선 추천'하기로 정한 바 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호남 출신의 인요한 전 혁신위원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외에도 직전 김기현 대표 체제에서 지도부를 지낸 김가람 전 최고위원과 국민의힘 전·현직 시·도당 위원장, 지역위원장 등이 대거 비례대표로 출마할 것으로 전해졌다.
더욱이 지역 출신의 '비례대표 도전자'들도 눈에 띄지 않는 상황이다. 현재 TK에서 공식적으로 출마인사를 밝히고 접수를 알린 것은 이달희 전 경북도 경제부지사가 유일하다. 이외에도 앞서 국민의힘은 지역구에서 '현역 중심'의 공천으로 쇄신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 |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달 23일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비례대표 위성정당 '국민의미래' 중앙당 창당대회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정재훈
서울본부 선임기자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