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부가 의과대학 정원 2천명 확대를 발표한 뒤에도 전공의를 중심으로 한 의사들의 반발이 계속되고 있는 22일 오전 한덕수 국무총리가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의사 집단행동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 참석해 정부의 의료 개혁에 관한 의지를 강조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의사들의 집단행동이 지속되면서 정부가 공중보건의 및 군의관을 추가 지원하고 시니어 의사 채용 등으로 대응에 나선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다음 주 월요일에 247명의 공보의와 군의관을 추가 지원해 의료계 집단행동으로 촉발된 의료 공백을 메우는 데 힘을 보태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로써 앞서 투입된 인력에 이어 총 413명의 공보의·군의관이 의료 공백을 메우게 된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도 이날 브리핑에서 중대본 브리핑에서 "정부는 지난 11일 군의관과 공중보건의사 166명을 20개 의료기관에 1차 파견한 데 이어, 21일부터는 지자체의 의료기관 수요에 따라 18개 의료기관에 공중보건의사 47명을 추가로 파견한 바 있다"며 "이에 더해 3월 25일부터는 약 60개 의료기관에 군의관 100명과 공중보건의사 100명, 총 200명을 추가로 파견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한 총리는 4월 중 국립중앙의료원에 '시니어 의사 지원센터'를 열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시니어 의사를 새롭게 채용하거나 퇴직 예정 의사를 계속 고용하는 의료기관과 연계한 지원방안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한 총리는 내년도 의대 입학정원이 2천명 늘어나며 이 중 82%를 비수도권 의대에 배정키로 한 것에 대해 향후 '지역완결형 의료체계'를 구축하는 근간이 될 것이라고 기대를 표했다. 또 한 총리는 의대 증원으로 인한 교육의 질이 떨어지지 않고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방안을 마련하겠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그는 "지방 의대 졸업생이 해당 지역 내 병원에서 수련받을 수 있도록 모든 국립대 병원에 권역 임상교육훈련센터를 확충하겠다"며 "3년 주기로 수련 실태를 조사하고 보완하는 등 수련의 질도 지속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전공의 처우 개선 방안도 언급했다. 한 총리는 "전공의 처우 개선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현행 36시간인 전공의 연속 근무 시간 단축, 소아청소년과 외 필수 의료 전공의 수련 비용 지원 확대 등 다양한 과제에 대한 주문이 있었다"며 "이런 의견들을 최대한 반영해 전공의들의 근무 환경을 개선하고, 정상적인 수련이 가능한 의료 체계를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한 총리는 의료 현장을 떠난 전공의들에게는 조속한 복귀를, 사직서 제출을 예고한 교수에게는 결의 철회를 호소했다. 한 총리는 "정부가 추진 중인 의료개혁 4대 과제는 의료계의 오랜 숙원을 반영한 것으로, 의료계의 참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정부는 열린 자세와 마음으로 계속 소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차관도 "의과대학 비대위와 전국 의대 교수협의회에 조건 없이 대화할 것을 제안드린다"며 "일시, 장소 관계 없이 언제, 어디서든 가능하다. 정부와 기탄없이 대화할 것을 요청한다"고 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정재훈
서울본부 선임기자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