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경기도 용인특례시청에서 '대한민국 신성장동력 허브, 용인특례시'를 주제로 열린 스물세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마무리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특례시로 지정된 용인·수원·고양·창원 등에 대해 '특례시 지원특별법'을 제정, 자치 권한을 확대하겠다고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인특례시청에서 개최한 23번째 민생 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는 기초자치단체와 함께 개최하는 첫 민생 토론회여서 눈길을 끌었다.
이날 토론회에서 윤 대통령은 특례시의 권한 확대를 강조했다. 먼저 윤 대통령은 "4개 특례시가 특례시다운 행정을 펼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특별법을 제정해 특례시가 보유한 권한을 확대하고, 특례시들이 전략산업을 비롯한 각종 도시발전계획을 제대로 수립할 수 있도록 법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대표적으로 공동주택 리모델링 기본계획, 고층건물 건축 허가 등에 대해 윤 대통령은 현재 권한이 광역 단체의 승인 사항으로 돼 있지만 특례시로 권한을 이양하는 게 맞다고 설명했다.
새로운 주거 형태인 '주거문화복합타운'을 용인에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주거문화복합타운은 용인 교외 지역과 인구가 적은 면 단위에 실버타운과 청년 세대가 사는 '영 타운'을 결합한 형태로 조성하겠다는 것이 정부 계획이다.
윤 대통령은 마무리 발언에서 "대선 때 용인에 와서 유세하면서 용인을 '반도체 도시'로 발전시키겠다고 할 때 '선거용 립서비스' 아닌가라고 많은 분이 생각했었다"며 "선거 때 말씀드린 것, 국정과제 (적힌) 판을 사무실에 만들어 놓고 있고 작은 지역 공약까지 다 챙겨서 100% 이행하고 퇴임할 생각"이라고 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민생토론회도 사실 그 연장선상"이라며 "공약과 국정과제 이행을 점검하는 행사"라고 말했다. 이는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에서 민생토론회에대해 '총선용 보여주기식 행사' 또는 '관권선거'라고 비판한 것에 대한 반박으로 풀이된다.
이외에도 윤 대통령은 기초자치단체의 역할을 강조하기 했다. 윤 대통령은 "중앙정부가 아무리 좋은 정책을 마련해도 대부분 민생정책은 기초자치단체를 통해 주민들에게 전달된다"며 "시내버스 운행부터 일자리, 주택, 보건, 복지를 비롯한 공공서비스들이 기초자치단체에서 제대로 펼쳐지지 못하면 시민이 혜택을 누릴 수 없다"고 강조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정재훈
서울본부 선임기자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