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차전지 양극재 전문기업 <주>엘앤에프는 세계 최대 전구체 업체 'CNGR'과 IRA 대응을 위한 중장기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28일 전했다. 사진은 왼쪽부터 김동환 CNGR 총경리, 토니 타오 CNGR CEO, 최수안 엘앤에프 대표, 장성균 엘앤에프 CPO. <엘앤에프 제공> |
2차전지 양극재 전문 생산기업 ㈜엘앤에프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대응하기 위해 세계 최대 전구체(양극재 핵심재료) 업체인 'CNGR'과 손을 잡았다.
엘앤에프는 28일 CNGR과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비롯한 IRA 대응을 위한 중장기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하이니켈 양극재를 주로 생산해 온 엘앤에프는 최근 글로벌 전기차 업계 흐름에 발맞춰 LFP로도 사업 포트폴리오를 넓히고 있다. 지난달엔 미국 LFP 배터리 전문회사인 'ONE'과 LFP 양극재 공급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엘앤에프는 내년 1분기 준공 예정인 'LS-엘앤에프 배터리 솔루션(LLBS)' 새만금 공장에서 NCM(니켈·코발트·망간) 전구체 공급망을 확보하는 한편, CNGR과의 협력을 통해 LFP 전구체 대응력도 갖추겠다는 입장이다.
세계 최대 전구체 기업인 CNGR은 독보적인 해외 판매량을 보인다. IRA에 대응해 CNGR이 모로코 공장에서 생산한 전구체를 공급받으려는 완성차·배터리 기업의 요청이 이어지고 있다. 업계에선 CNGR 모로코 공장과 LLBS 새만금 공장이 내년도 IRA 기준에 부합하는 신규 전구체 생산 시설이 될 것으로 여긴다.
양사는 수년간 모로코 보세구역에 IRA 대응을 위한 대규모 공급망을 확보하기 위한 논의를 해왔다. 이번 LFP 전체 공정 공급망 및 생산 체계 구축을 위한 포괄적 MOU는 양사간 장기 협력의 일환이다. LFP·NCM 전구체, 니켈 제련, 리튬 생산시설 등 FTA 국가 최대 복합단지를 구축, 향후 세계 시장 대응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엘앤에프 측은 "현재 대구 구지3공장에 국내 최초로 양산 규모에 준하는 LFP 양극재 생산 라인을 확보했다. 자체 기술로 개발한 LFP는 국내외 다수 완성차 및 배터리 기업에서 평가받고 있고, 긍정적 결과도 얻고 있다"고 말했다.
최시웅기자 jet123@yeongnam.com

최시웅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