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시행과 함께 신용대출 한도까지 줄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조이기 '풍선 효과'까지 대비해 가계대출 급등세를 막아보려는 취지다.
8일 금융당국 관계자는 "수도권 주택가격 상승세에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을 모두 동원해 주택구입에 나서는 경향이 지속되는지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추이를 봐서 신용대출 한도를 연소득 내로 축소하는 방안을 포함한 추가 조처를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가계대출 급증세가 좀처럼 진정되지 않을 경우 신용대출까지 조이겠다는 것. 현재 시중은행들은 신용대출 한도를 연소득의 150% 수준으로 적용하고 있다.
앞서 정부는 영끌·빚투(빚으로 투자) '광풍' 이 불자, 행정지도를 통해 신용대출 한도를 연소득 내로 축소한 바 있다. 이미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도 각각 9일, 10일부터 신용대출을 연소득까지만 내주기로 했다.
금융당국은 DSR 산정 시 신용대출에 적용하는 만기를 현행 5년에서 추가 축소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 경우 현재 소득의 최대 1.8배 수준인 대출 한도가 더욱 축소될 수 있다.
연말까지 특정 지역 부동산 가격 급등에 대응할 수 있는 '핀셋' 규제를 추가로 제도화하거나, 3단계 스트레스 DSR의 조기 시행 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5대 주요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신용대출은 최근 한 달 새 8천494억원(102조6천68억원→103조4천562억원) 늘었다. 특히 주담대 문턱이 높아지자 신용대출까지 최대한 끌어 쓴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당국은 수도권 중심으로 2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에 따른 풍선효과가 2금융권 주담대에 이어 신용대출에까지 나타날지 점검할 계획이다. 박종진기자 pjj@yeongnam.com
8일 금융당국 관계자는 "수도권 주택가격 상승세에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을 모두 동원해 주택구입에 나서는 경향이 지속되는지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추이를 봐서 신용대출 한도를 연소득 내로 축소하는 방안을 포함한 추가 조처를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가계대출 급증세가 좀처럼 진정되지 않을 경우 신용대출까지 조이겠다는 것. 현재 시중은행들은 신용대출 한도를 연소득의 150% 수준으로 적용하고 있다.
앞서 정부는 영끌·빚투(빚으로 투자) '광풍' 이 불자, 행정지도를 통해 신용대출 한도를 연소득 내로 축소한 바 있다. 이미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도 각각 9일, 10일부터 신용대출을 연소득까지만 내주기로 했다.
금융당국은 DSR 산정 시 신용대출에 적용하는 만기를 현행 5년에서 추가 축소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 경우 현재 소득의 최대 1.8배 수준인 대출 한도가 더욱 축소될 수 있다.
연말까지 특정 지역 부동산 가격 급등에 대응할 수 있는 '핀셋' 규제를 추가로 제도화하거나, 3단계 스트레스 DSR의 조기 시행 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5대 주요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신용대출은 최근 한 달 새 8천494억원(102조6천68억원→103조4천562억원) 늘었다. 특히 주담대 문턱이 높아지자 신용대출까지 최대한 끌어 쓴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당국은 수도권 중심으로 2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에 따른 풍선효과가 2금융권 주담대에 이어 신용대출에까지 나타날지 점검할 계획이다. 박종진기자 pjj@yeongnam.com

박종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