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융권 대출을 제때 갚지 못해 신용유의자(옛 신용불량자)가 된 20대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연체(대출 만기 3개월 경과 또는 연체 6개월 경과) 대부분이 1천만원 이하 소액대출에서 발생하고 있다. 청년 생활고가 심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9일 더불어민주당 이강일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최근 3년간 업권별 신용유의자 현황 자료'를 보면, 지난 7월 말 기준 한국신용정보원에 신용유의자로 등록된 20대는 6만5천887명(중복 인원 제외)이다. 2021년 말(5만2천580명) 대비 25.3%나 늘었다.
같은 기간 전체 신용유의자가 54만8천730명→59만2천567명으로 8%가량 늘어난 것을 감안하면 20대 증가세가 더 또렷해진다. 신용유의자로 등록되면 신용카드 사용 정지와 대출 이용 제한, 신용등급 하락 등 여러가지 불이익을 받게 된다.
은행권에서 받은 대출을 갚지 못해 신용유의자로 등록(3만3천610명)된 경우가 전체의 절반 수준을 차지했다. 이어 저축은행(2만2천356명), 카드사·캐피탈사 등 여신전문금융회사(1만6천83명) 순이었다.
수십만~수백만원 수준의 대출도 갚지 못하는 소액 연체자 비중도 컸다. 신용평가회사(CB)에 단기연체 정보가 등록된 20대는 7만3천379명(카드대금 연체 제외·올해 7월 말 기준)이다. 이 중 연체 금액이 '1천만원 이하'인 연체자는 6만4천624명(88.1%)이다. 20대 연체자 10명 중 9명은 소액 채무자라는 의미다. 생활비나 주거비 등 생계 관련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이 대부분일 것이라는 추정이 가능한 대목이다.
고금리·고물가에 따른 경기 둔화 여파로 제대로 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것이 청년층의 가계 부채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강일 의원은 "청년층 소액연체를 채무조정 등으로만 해결할 것이 아니라 일자리와 사회정책 등 거시적 청년정책을 실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수경기자 justone@yeongnam.com

최수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