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택도시보증공사는 이달 4일 경주시를 비롯한 포항시, 대구 남구 등 8곳을 제93차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선정했다.
미분양 관리지역은 미분양 세대수가 1천세대 이상인 시·군·구에서 미분양 증가, 미분양 해소 저조, 미분양 우려 등의 요건 가운데 1개 이상 충족하면 지정된다. 경주시는 최근 3개월간 미분양 가구수가 1천가구 이상이며 최근 3개월간 전월보다 감소율이 10% 미만인 지역(미분양 해소 저조)으로 분류됐다.
지난 2022년 3월 제65차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선정되면서 32개월째 관리지역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지정되면 분양(PF)보증 발급을 위해서는 사전심사를 받아야 하는 등 신규 주택 건설이 어려워 진다.
9일 경주시와 빅데이터부동산지인에 따르면, 경주 지역 아파트 11개 단지(총분양 5465가구)의 미분양 가구 수는 올해 1월 1천387가구, 2월 1천449가구, 3월 1천437가구, 4월 1천426가구, 5월 1천415가구, 6월 1천403가구, 7월 31일 현재 기준 1천397가구로 미분양 해소는 매월 한 자릿수에 그치고 있다.
미분양 전체 가운데 악성인 준공 후 미분양은 298가구로 21%에 달했다. 악성 미분양은 2023년 7월까지 6% 수준을 유지하다 같은 해 8월부터 20%로 급증해 2024년 7월 현재 21%선을 유지하고 있다.
당장 내년 1월~2월 입주를 시작하는 신경주역세권 등 4개 단지 아파트(2천647세대)들의 미분양이 해소되지 않을 경우 향후 악성 미분양 수는 더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경주에 미분양 해소가 힘든 것은 '실입주 수요 보다 과도한 아파트 공급'으로 누적된 물량과 신축 아파트의 높은 분양가격 때문(올해 신축 아파트 분양 평당 매매가 1천684만원~1천996만원)"이라면서 "앞서, 지난 2021년 4천900여 세대에 달하는 신규 아파트 물량이 쏟아지면서 또 한 번 미분양 위기를 겪을 것이라는 지적은 꾸준히 나왔다"고 했다.
장성재기자 blowpaper@yeongnam.com

장성재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