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13일 오후 대만 타이베이돔에서 열린 세계야구소프트볼연맹(WBSC) 프리미어12 2024 B조 조별리그 대한민국과 대만의 경기. 한국 선발 고영표가 역투하고 있다. 연합뉴스 |
한국 야구 대표팀이 '2024 세계야구소프트볼연맹(WBSC) 프리미어12' 첫 경기에 패하면서 슈퍼라운드(4강전)에 진출하기 위한 해결 과제가 떠올랐다. 특히 '자동 볼 판정 시스템'(ABS) 없는 경기에 대한 적응이 급선무다.
지난 13일 한국은 대만 타이베이돔에서 열린 세계야구소프트볼연맹(WBSC) 2024 프리미어12 예선 라운드 B조 1차전 대만과의 경기에서 3-6으로 패했다.
패배 이유 중 'ABS' 없는 경기에 투수와 타자들이 적응하지 못했다는 분석이다. KBO리그는 올해부터 ABS가 도입됐다. 시즌을 시작하며 여러 불만도 있었지만 투수, 타자, 심판 대부분 적응을 한 상황이다. 그러나 국제대회에는 ABS가 없다. 사람이 판정한다.
이날 경기에는 대표팀 에이스 고영표가 마운드에 올렸다. 그러나 2이닝 6실점으로 무너져 내리면서 경기의 승패를 갈랐다. 특히 2회말에는 만루 홈런, 2점 홈런을 연달아 맞았다.
사람 판정으로 1회부터 고영표는 1회부터 구심 판정에 흔들렸다. 1회 천쳬흐센과의 승부 볼카운트 2볼 1스트라이크 상황에서 던진 가운데 공이 볼 판정을 받았다. 이어진 승부에서 몸쪽(좌타자 기준) 스트라이크존(S존)에 걸친 공도 심판의 콜을 받지 못했다. 심판의 판정에 고영표는 당황했다.
2회 2사 1·2루 상황에도 심판의 판정은 이해하기 어려웠다. 9번 타자 창쿤위와의 승부에서 초구 바깥쪽(우타자 기준) 보더라인에 걸쳤지만 볼 판정을 받았다. 볼카운트 2볼 상황에서도 몸쪽에 구사한 공이 볼 판정을 받았다. 흔들린 고영표는 스트라이크존에서 크게 벗어나며 볼넷을 허용했다. 결국 홈런까지 허용했다.
고영표뿐만 아니라 타자들도 ABS가 없는 경기에서 당황했다. 2회 초 1사 주자 없는 상황에서 나선 박동원은 볼카운트 1볼 1스트라이크에서 스트라이크 콜을 받은 공에 아쉬움을 표했다. 또 6회 초 1사 2루 득점 기회에 나선 윤동희도 볼카운트 3볼 1스트라이크에서 오는 변화구에 볼넷을 확신하고 1루로 향하다 스트라이크 판정에 돌아서야 했다.
대회가 열리기 전 대표팀은 ABS없는 경기에도 적응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LG 트윈스 홍창기는 "국제 대회를 하면 KBO리그보다 스트라이크 존이 클 때도 있고 작을 때도 있다"면서 "심판마다 다르기 때문에 그에 대한 대처를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첫 대회때부터 대표팀은 ABS 없는 경기에 적응하지 못한 모습을 보였다. 대회 일정이 남은 상황에 빠르게 적응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았다.
정지윤기자 yooni@yeongnam.com

정지윤
영남일보 정지윤 기자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