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티이미지뱅크. |
![]() |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연도별 사용량표. SNE리서치 제공 |
![]() |
글로벌 TOP6 전기차 배터리사 시장점유율. SNE리서치 제공 |
5일 에너지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10월 세계 각국에 등록된 순수전기차·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하이브리드차(HEV)에 탑재된 배터리 총사용량은 686.7GWh로, 전년동기 대비 25% 성장했다.
같은 기간 국내 기업인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K-배터리 3사의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도 성장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6.4% 증가한 81.2GWh로 글로벌 3위(점유율 11.8%)를 유지했다.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는 주로 테슬라, 폭스바겐, 포드, 현대차그룹 순으로 탑재된 것으로 확인됐다.
SK온은 현대차 아이오닉5와 EV6의 판매량 회복, 기아 EV9 해외 판매 확대 등으로 9.5% 증가한 31.1GWh를 기록하며 5위(점유율 4.5)에 올랐다. 삼성SDI는 BMW와 리비안의 판매량이 호조를 보였으나 아우디Q8 e-트론의 판매량 감소로 전체 사용량이 2.3% 증가한 26.2GWh로 7위에 랭크됐다. 사용량은 증가했으나 국산 배터리 3사의 합산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5%포인트(p) 하락한 20.2%에 그쳤다.
점유율이 떨어진 것은 중국 기업들에게 밀렸기 때문이다. 중국 CATL은 같은 기간 28.3% 성장한 252.8GWh를 기록해 점유율 36.8%로 글로벌 1위 자리를 유지했다. 2위 BYD(비야디)는 31.3% 성장한 115.3GWh로 점유율 16.8%를 장악했다. 글로벌 완성차업체(OEM) 간 하이브리드 기술 경쟁이 확대되는 가운데 BYD는 순수 전기차와 PHEV 시장을 투트랙 전략으로 공략해 급성장 중이다.
업계는 전기차 수요 부진과 함께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으로 인한 정책 변화 가능성이 한국 배터리 업계의 불확실성을 증폭시키고 있어 지속적인 시장 상황 주시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SNE리서치는 "바이든 정부가 추진한 IRA 정책을 무력화 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미국 외 국가의 기업에게 지급하던 첨단제조 생산 세액공제(AMPC)의 지급이 유예되거나 축소될 경우 한국 배터리 기업들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면서 "국내 기업들은 장기적으로 첨단제조 생산 세액공제(AMPC) 의존도를 낮추고,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동현기자 shineast@yeongnam.com

이동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