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대오'는 못할망정…탄핵정국에도 여전히 계파 갈등 중인 국민의힘

  • 정재훈
  • |
  • 입력 2024-12-08  |  수정 2024-12-09 07:25  |  발행일 2024-12-09 제4면
추경호 원내대표 사퇴 논란 지속…친한 친윤 갈등

윤상현 "국정안정화는 당내 논의 필요…韓 비판"
단일대오는 못할망정…탄핵정국에도 여전히 계파 갈등 중인 국민의힘
국민의힘 추경호 원내대표가 지난 7일 오전 국회 국민의힘 의원총회 회의장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을 막아내며 국정을 이끌어나가겠다고 밝혔지만, 정작 내부에서는 '계파 갈등'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 원내 지도체제를 유지하려는 '친윤(親윤석열)계'와 이를 거부하는 '친한(親한동훈)계'가 충돌하면서 볼썽사나운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8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추경호 원내대표는 전날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폐기된 직후 사의를 표명했다. 이에 친윤계 중진 권성동 의원이 나서 "혼란스러운 시기에 원내지도부를 바꾸면 안 된다"며 재신임 안건 상정을 요청하고 '박수 추인'을 제안했다.

하지만, 친한계인 한지아 의원이 손을 들고 재신임 거부 의사를 밝혔다. 친한계에선 비상계엄 해제 표결에 국민의힘 의원 18명만 참여한 것에 대해 추 원내대표의 책임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의원의 거부 의사에도 거수 표결에 들어갔고, 전체 78명 중 73명이 찬성해 추 원내대표의 재신임이 결정됐다. 그러나 추 원내대표 측은 "책임을 져야 한다"며 사퇴 의사를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추 원내대표 사의 표명 후 조지연 원내대변인 등 원내지도부 구성원들도 일제히 사의 표명을 한 상태다.

이에 한 대표 측은 새 원내지도부 선출 절차와 시기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더 나아가 친한계 일각에서는 비상 상황을 고려해 선거 없이 추대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지난 계엄 해제 표결에 참여한 친한계 의원 18명 중에서 '선수'가 높은 의원을 추대하는 방안 등이 거론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가운데 친윤계 및 중진들이 '의총 재신임 결정'을 내세워 추 원내대표의 복귀를 요구할 경우, 원내지도부 재신임 문제를 놓고 계파 간 갈등은 더 격화될 전망이다.

한동훈 대표가 이날 한덕수 국무총리와 공동 담화에서 윤 대통령을 직무 배제하고 한 총리와 외교·국방 등을 논의하겠다고 한 데 대한 비판도 나왔다. 윤상현 의원은 "대통령이 국정 안정화 방안을 당에 일임한 것은 당 최고위원회, 의원총회, 또 여러 원로의 의견을 폭 넓게 수렴해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방안을 모색하라는 의미"라며 "대통령의 직무배제, 질서 있는 조기 퇴진 등의 방안 역시 당내 논의가 필요하다"며 한 대표를 비판했다. 친윤계 의원들은 9일 열리는 의원총회에서 이 문제를 제기할 것으로 전해졌다.

한 대표가 밝힌 '조기 퇴진'의 시점을 두고도 친윤과 친한계의 인식차이가 감지된다. 친한계 일각에서는 내년 6월쯤 '하야' 요구설이 나오고 있지만, 친윤계 및 중진 의원들 사이에선 '2선 후퇴' '임기 단축 개헌' '책임총리제' 등 이른바 '질서 있는 퇴진'을 로드맵으로 제시하고 있다.

때문에 정치권 일각에서는 윤 대통령 '탄핵 반대'의 이유로 정국 안정을 내세웠던 국민의힘이 비상 상황에서도 계파 갈등만 벌이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계엄 정국 이후 '단일대오'로 국민 불안 해소에 전력을 다해도 모자랄 판에 계파로 나눠 갈등을 벌이는 꼴을 좋게 보는 국민은 없을 것"이라면서 "이권 다툼에만 골몰하고 있다는 모습을 보인다면 당내 소장파들의 이탈을 막을 수 없을 것"이라고 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정재훈

서울본부 선임기자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