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관련 국가 애도 기간이 끝나고 본격적인 설 연휴를 앞둔 가운데 국내 주요 여행사들이 기획전 및 프로모션 등 마케팅 활동 재개에 나서고 있다. 7일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을 찾은 탑승객 뒤로 항공기가 이륙하고 있다. 연합뉴스 |
정부가 주말과 설 연휴 사이에 끼어있는 1월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상계엄 사태 및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위축된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황금연휴 카드'를 검토하고 있는 셈이다.
7일 정부에 따르면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는 오는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을 두고 부처 간 협의를 진행 중이다. 만약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25∼26일 주말에 이어 28∼30일 설 연휴까지 모두 엿새를 연달아 쉴 수 있다. 다만 기재부는 입장문을 내고 "정부는 현재 '2025년 설 명절 대책' 마련을 위해 다양한 과제를 검토 중"이라면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정치권은 임시공휴일 지정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실제로 여당 일각에서도 임시공휴일 지정에 긍정적인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정치 상황과 맞물려 민생 경제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가운데 임시공휴일 지정을 통해 휴일이 늘어나면 침체한 내수 경기를 살리는 데 보탬이 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정부도 앞서 '역동 경제 로드맵'에서 내수 활성화를 위해 공휴일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대체 공휴일을 확대하거나 월요일 등 주말과 이어진 특정 요일을 공휴일로 지정하는 '요일제 공휴일'을 도입해 매년 안정적인 휴일 수를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한편, 정부는 올해 경제정책방향에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할인율을 설 성수기(1월10일∼2월10일)에만 기존 10%에서 15%로 높이기로 하는 등 내수진작 대책을 내놨다. 영세소상공인 점포에서 사용하는 신용카드 소득공제율을 한시적으로 15%에서 30%로 두 배로 높이는 방안도 추진한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정재훈
서울본부 선임기자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