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3일부터 사직 전공의(인턴) 복귀 모집을 시작한다. 하지만 대구경북 지역을 비롯한 전국 의료계 반응은 싸늘하다. 정부가 수련 특례와 입영 연기 등 '당근책'을 제시했지만 의정 갈등이 해결되지 않은 상황인 탓에 복귀율은 많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2일 보건복지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전국 수련병원들은 3~4일 이틀간 상반기 인턴 모집을 진행한다. 지난해 사직한 전공의 2천967명이 모집 대상이다. 대구경북에서도 경북대병원, 계명대 동산병원, 영남대병원, 대구가톨릭대병원, 대구파티마병원 등 주요 수련병원에서 모집이 진행된다. 인원은 수 백명에 달할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지난달 진행된 사직 레지던트 모집에서도 대상자 9천220명 중 199명(2.2%)만 지원하며 기대 이하의 복귀율을 보였다. 대구도 경북대병원 4명, 계명대 동산명원 2명, 대구의료원 1명이 지원하는 등 한 자릿수에 그쳤다. 대구파티마병원과 영남대병원, 대구가톨릭대병원은 지원 결과를 공개하지 않거나, 지원자가 아예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인턴 모집 역시 복귀율이 극히 저조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대구의 한 대학병원 관계자는 "의료계의 신뢰를 회복하지 못한 상태에서 복귀하는 전공의는 극소수일 것"이라며 "정부가 정책을 강행하면서 의료계와 충분한 대화를 나누지 않은 게 가장 큰 원인"이라고 꼬집었다.
정부는 이번 모집을 앞두고 사직 전공의가 기존 병원과 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수련 특례를 제공하고, 사직한 의무사관후보생이 수련 후 입영할 수 있도록 입영 연기 혜택을 제시했다. 하지만 의료계는 근본적 문제 해결 없이 복귀를 논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는 반응이다.
대구경북 지역 전공의들은 의대 정원 확대 정책 철회와 의학교육 정상화가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경북대병원 전공의를 사직한 뒤 최근 대구 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30대 의사(내과)는 "정부는 의대 정원 확대를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고 했지만, 실제론 의료계 요구를 반영하지 않고 있다"며 "전공의들이 복귀할 유인이 전혀 없다"고 토로했다.
전공의 복귀율이 낮을 것으로 전망되는 또 다른 이유는 정부의 의료개혁 2차 실행 방안이다. 의료계와의 갈등을 더 심화시켰다. 정부는 최근 토론회를 통해 도수치료 등 남용되는 비급여 항목을 '관리 급여'로 지정해 본인 부담률을 90% 이상으로 올리고, 급여·비급여 병행 진료 시 건강보험 급여를 제한하는 등의 개혁안을 발표했다. 지역 의료계는 강하게 반발했다.
달서구의 A 병원장은 "비급여 정책 개편이 의료 서비스의 질을 낮추고 환자의 선택권을 제한할 것"이라며 "의료계와 협의 없이 정부가 일방적으로 정책을 추진하면서 의료진의 불신만 키우고 있다"고 비판했다. 강승규기자
2일 보건복지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전국 수련병원들은 3~4일 이틀간 상반기 인턴 모집을 진행한다. 지난해 사직한 전공의 2천967명이 모집 대상이다. 대구경북에서도 경북대병원, 계명대 동산병원, 영남대병원, 대구가톨릭대병원, 대구파티마병원 등 주요 수련병원에서 모집이 진행된다. 인원은 수 백명에 달할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지난달 진행된 사직 레지던트 모집에서도 대상자 9천220명 중 199명(2.2%)만 지원하며 기대 이하의 복귀율을 보였다. 대구도 경북대병원 4명, 계명대 동산명원 2명, 대구의료원 1명이 지원하는 등 한 자릿수에 그쳤다. 대구파티마병원과 영남대병원, 대구가톨릭대병원은 지원 결과를 공개하지 않거나, 지원자가 아예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인턴 모집 역시 복귀율이 극히 저조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대구의 한 대학병원 관계자는 "의료계의 신뢰를 회복하지 못한 상태에서 복귀하는 전공의는 극소수일 것"이라며 "정부가 정책을 강행하면서 의료계와 충분한 대화를 나누지 않은 게 가장 큰 원인"이라고 꼬집었다.
정부는 이번 모집을 앞두고 사직 전공의가 기존 병원과 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수련 특례를 제공하고, 사직한 의무사관후보생이 수련 후 입영할 수 있도록 입영 연기 혜택을 제시했다. 하지만 의료계는 근본적 문제 해결 없이 복귀를 논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는 반응이다.
대구경북 지역 전공의들은 의대 정원 확대 정책 철회와 의학교육 정상화가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경북대병원 전공의를 사직한 뒤 최근 대구 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30대 의사(내과)는 "정부는 의대 정원 확대를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고 했지만, 실제론 의료계 요구를 반영하지 않고 있다"며 "전공의들이 복귀할 유인이 전혀 없다"고 토로했다.
전공의 복귀율이 낮을 것으로 전망되는 또 다른 이유는 정부의 의료개혁 2차 실행 방안이다. 의료계와의 갈등을 더 심화시켰다. 정부는 최근 토론회를 통해 도수치료 등 남용되는 비급여 항목을 '관리 급여'로 지정해 본인 부담률을 90% 이상으로 올리고, 급여·비급여 병행 진료 시 건강보험 급여를 제한하는 등의 개혁안을 발표했다. 지역 의료계는 강하게 반발했다.
달서구의 A 병원장은 "비급여 정책 개편이 의료 서비스의 질을 낮추고 환자의 선택권을 제한할 것"이라며 "의료계와 협의 없이 정부가 일방적으로 정책을 추진하면서 의료진의 불신만 키우고 있다"고 비판했다. 강승규기자

강승규
의료와 달성군을 맡고 있습니다. 정확하고 깊게 전달 하겠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