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6일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6차 변론에서 "홍장원(전 국가정보원 1차장)·곽종근(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으로부터 탄핵공작이 시작됐다"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변론에서 "지난해 12월6일 홍장원의 발언과 (곽종근) 특전사령관의 '김병주TV' 출연 이후 내란 프레임과 탄핵공작이 시작됐다는 생각이 아주 강하게 든다"고 했다. 홍 전 차장은 지난해 12월6일 국회 정보위에 출석해 체포 의혹을 처음 폭로했고, 곽 전 사령관은 같은 날 더불어민주당 김병주 의원의 유튜브에 출연한 바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12·3 계엄 당시 곽 전 사령관의 '국회 안에 있는 인원들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는 주장에 대해 강하게 반박했다. 윤 대통령은 "공직사회에서 상급자가 지시하면 보고하는 게 상식이다. 당시 국회의사당에선 국회의원들을 끄집어낼 수 있는 상황이 아닌 데도 만약 끄집어내라고 지시했다면 (곽 전 사령관이) '불가능하다'고 보고하는 게 상식이다. 그런데 이런 보고도 없이 뜬금없이 다짜고짜 끄집어내라고 했다는 건 상식에 맞지 않다"고 했다.
반면 곽 전 사령관은 비상계엄 선포 직후 윤 대통령으로부터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며 '작전 요원'이 아닌 '국회의원'이 맞다고 진술해 대조를 보였다. 다만 윤 대통령이 직접 국회의원들을 끌어내라는 취지로 지시하면서 '인원'이라는 표현을 쓴 것은 인정했다.
국회 측 대리인단이 곽종근 전 사령관의 검찰 신문조서를 읽으며 "12월4일 밤 12시30분쯤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비화폰으로 전화를 걸어와 '아직 국회 내 의결 정족수가 안 채워진 것 같다. 빨리 들어가서 의사당 사람들을 데리고 나와라'라고 (말한 것으로) 기재돼 있다. 증인이 진술한 게 사실인가"라고 묻자 곽 전 사령관은 "그렇다"고 답변했다. 이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도 국회의원이 150명이 되지 않도록 국회의사당 출입을 봉쇄하고, 의사당 안으로 들어가 의원들을 데리고 나오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증언했다.
국회 대리인단은 "이상현 1공수여단장과 김현태 육군특수전사령부 707특임단장에게 '유리창을 깨고서라도 국회 본관 안으로 진입해라. 국회의원 150명이 넘으면 안 된다. 문짝을 도끼로 부수고라도 안으로 들어가서 다 끄집어내라'며 '대통령님 지시다'라고 했다는 공소장 내용이 사실이냐"고도 물었다. 이에 곽 전 사령관은 "여러 상황이 혼재돼 있다. 분명한 건 제가 이걸 하라고 지시한 게 아니라 대통령과 김 전 장관이 지시한 내용을 참모들, 현장 지휘관과 논의한 내용이 그대로 (공소장에) 쓰여 있다"며 "결론적으로는 제가 국회의사당 들어가 의원들을 끌어내는 것을 하지 말라고 지시해 중지시켰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 대리인단은 곽 전 사령관이 계엄 당시 윤 대통령과의 통화 횟수에 대한 진술을 번복해 왔다며 '끌어내라'는 지시가 실제로 존재하지 않았다는 취지의 질문과 주장을 폈다. 송진호 변호사는 곽 전 사령관의 국회 증언 영상을 재생하며 애초 윤 대통령과의 통화 횟수를 1회라고 말했다가 이후 '3회 전화 왔는데 두 번 통화했고 한 번은 통화가 안 됐다'고 진술을 바꿨다고 했다. 또 곽 전 사령관의 자술서와 국회 진술 내용을 비교하며 "'사람'이 '인원'으로, '데리고 나와라'가 '끄집어내라'로 변경됐고, 검찰 진술에는 '문을 부수고 들어가라'는 말도 나중에 추가됐다"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비상계엄 당시 국회에 투입된 김 707특임단장은 이날 "국회 진입 명령 받았으나 국회 출입문을 봉쇄하기 위한 것"이라고 증언했다. 윤 대통령 측 신청으로 증인으로 출석한 그는 "제가 받은 임무는 (국회의) 정문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지 국회 의결권을 저지하기 위한 게 아니었다"고 진술했다. 그러면서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도 없었다"고 했다. '적법한 출동이었느냐'는 윤 대통령 측 질문에는 "지금은 그렇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윤 대통령은 지난해 12·3 계엄 당시 곽 전 사령관의 '국회 안에 있는 인원들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는 주장에 대해 강하게 반박했다. 윤 대통령은 "공직사회에서 상급자가 지시하면 보고하는 게 상식이다. 당시 국회의사당에선 국회의원들을 끄집어낼 수 있는 상황이 아닌 데도 만약 끄집어내라고 지시했다면 (곽 전 사령관이) '불가능하다'고 보고하는 게 상식이다. 그런데 이런 보고도 없이 뜬금없이 다짜고짜 끄집어내라고 했다는 건 상식에 맞지 않다"고 했다.
반면 곽 전 사령관은 비상계엄 선포 직후 윤 대통령으로부터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며 '작전 요원'이 아닌 '국회의원'이 맞다고 진술해 대조를 보였다. 다만 윤 대통령이 직접 국회의원들을 끌어내라는 취지로 지시하면서 '인원'이라는 표현을 쓴 것은 인정했다.
국회 측 대리인단이 곽종근 전 사령관의 검찰 신문조서를 읽으며 "12월4일 밤 12시30분쯤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비화폰으로 전화를 걸어와 '아직 국회 내 의결 정족수가 안 채워진 것 같다. 빨리 들어가서 의사당 사람들을 데리고 나와라'라고 (말한 것으로) 기재돼 있다. 증인이 진술한 게 사실인가"라고 묻자 곽 전 사령관은 "그렇다"고 답변했다. 이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도 국회의원이 150명이 되지 않도록 국회의사당 출입을 봉쇄하고, 의사당 안으로 들어가 의원들을 데리고 나오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증언했다.
국회 대리인단은 "이상현 1공수여단장과 김현태 육군특수전사령부 707특임단장에게 '유리창을 깨고서라도 국회 본관 안으로 진입해라. 국회의원 150명이 넘으면 안 된다. 문짝을 도끼로 부수고라도 안으로 들어가서 다 끄집어내라'며 '대통령님 지시다'라고 했다는 공소장 내용이 사실이냐"고도 물었다. 이에 곽 전 사령관은 "여러 상황이 혼재돼 있다. 분명한 건 제가 이걸 하라고 지시한 게 아니라 대통령과 김 전 장관이 지시한 내용을 참모들, 현장 지휘관과 논의한 내용이 그대로 (공소장에) 쓰여 있다"며 "결론적으로는 제가 국회의사당 들어가 의원들을 끌어내는 것을 하지 말라고 지시해 중지시켰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 대리인단은 곽 전 사령관이 계엄 당시 윤 대통령과의 통화 횟수에 대한 진술을 번복해 왔다며 '끌어내라'는 지시가 실제로 존재하지 않았다는 취지의 질문과 주장을 폈다. 송진호 변호사는 곽 전 사령관의 국회 증언 영상을 재생하며 애초 윤 대통령과의 통화 횟수를 1회라고 말했다가 이후 '3회 전화 왔는데 두 번 통화했고 한 번은 통화가 안 됐다'고 진술을 바꿨다고 했다. 또 곽 전 사령관의 자술서와 국회 진술 내용을 비교하며 "'사람'이 '인원'으로, '데리고 나와라'가 '끄집어내라'로 변경됐고, 검찰 진술에는 '문을 부수고 들어가라'는 말도 나중에 추가됐다"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비상계엄 당시 국회에 투입된 김 707특임단장은 이날 "국회 진입 명령 받았으나 국회 출입문을 봉쇄하기 위한 것"이라고 증언했다. 윤 대통령 측 신청으로 증인으로 출석한 그는 "제가 받은 임무는 (국회의) 정문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지 국회 의결권을 저지하기 위한 게 아니었다"고 진술했다. 그러면서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도 없었다"고 했다. '적법한 출동이었느냐'는 윤 대통령 측 질문에는 "지금은 그렇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정재훈
서울본부 선임기자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