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현태 707특수임무단장이 17일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국민의힘 소속 위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이날 회의는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의 회유 의혹과 관련해 성 위원장 직권으로 야당 의원들이 불참한 가운데 열렸다. 연합뉴스 |
![]() |
김현태 707특수임무단장이 17일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국민의힘 소속 위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이날 회의는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의 회유 의혹과 관련해 성 위원장 직권으로 야당 의원들이 불참한 가운데 열렸다. |
김현태 육군 특수전사령부 707특수임무단장이 12·3 비상계엄 직후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을 개별적으로 접촉해 회유한 정황이 있다고 주장했다. 비상계엄 당시 국회에 투입됐던 김 단장은 17일 국민의힘이 단독으로 개최한 국회 국방위원회 현안 질의에 출석해 이같이 밝혔다.
김 단장은 이날 국방위에 출석해 지난해 12월 10일 곽 전 사령관과 민주당 박범계·부승찬 의원과의 면담 자리에 동석했다며 내용을 공개했다. 그는 "먼저 민주당 전문위원이라는 사람이 (곽 전) 사령관과 한참 이야기를 했다"며 "'이미 대세는 기울었다. 민주당이 지켜줄 것이다'라는 말을 많이 했고, 이후 민주당 박범계·부승찬 의원이 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박 의원은 사령관 얘기를 노란 메모지에 쭉 기록했고, 한 번 더 해보라고 요구한 뒤 '아까 그렇게 안 했잖아요'라고 하면서 본인이 적은 문장으로 똑같이 하길 사령관에게 요구했다"고 말했다.
당시는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가 있었던 날로, 곽 전 사령관은 이날 민주당 박·부 의원과 면담을 한 뒤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국회 문을 무수고 의원들을 끄집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폭로했다. 김 단장은 이날 면담에서 부 의원이 곽 전 사령관에게 변호사를 소개해주겠다고 발언한 것으로 기억한다고도 했다. 또 김 단장은 지난해 12월 6일 민주당 김병주·박선원 의원이 특전사를 항의 방문 형식으로 찾아가 곽 전 사령관과 인터뷰했을 때도 예상 질문지를 미리 줬고, 답변도 함께 준비했다고도 밝혔다.
김 단장은 "단전과 관련해 윤 대통령의 지시가 일절 없었다"며 "곽 전 사령관이 대통령 전화를 받고 스스로 뭔가를 하기 위해 생각해낸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근 공개된 국회 지하 1층 단전 상황에 대해서도 그는 "불이 꺼졌다고 느끼기도 애매한 수준으로 잠시 꺼졌다가 켠 상황이었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는 야당이 동의하지 않아 국민의힘 소속 성일종 국방위원장이 직권으로 소집됐다. 이에 민주당은 여야 합의 없이 국방위 회의가 열린 것에 대해 반발하며 회의가 진행되자 퇴장했다. 부 의원은 "지금 김 단장이 진술한다고 해서 달라지는 게 있느냐"며 오히려 김 단장에 대한 여당의 회유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한편 국가인권위원회는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및 형사재판 방어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밝혔다. 인권위는 이날 결정문을 통해 윤 대통령의 인권 침해 방지 대책으로 헌법재판소장에게 대통령 탄핵심판 시 형사 소송에 준하는 엄격한 증거 조사를 실시하는 등 적법절차 준수를 요구했다. 또 서울중앙지법과 중앙지역군사법원에 윤 대통령 등 계엄 선포 관련 피고인들에 대해 형사법의 대원칙인 불구속 재판 원칙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표명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정재훈
서울본부 선임기자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