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불어민주당의 잠재적 차기 대선주자로 거론되는 김경수 전 경남지사와 이광재 전 강원지사가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행정수도 세종 이전의 추진방안과 과제 토론회'에서 강준현 의원, 김영배 의원 등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 내 비명(비이재명)계 대권 잠룡들이 연일 '개헌' 목소리를 내고 있다. 조기 대선 분위기가 무르익으면서 '개헌'을 고리로 지역균형발전에 목소리를 높이는 등 여권과 궤를 같이해, 실현 가능성에 관심이 쏠린다.
18일 민주당 소속의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와 이광재 전 강원도지사는 국회에서 열린 토론회에 참석해 나란히 '행정수도 이전'을 제시했다. 특히 행정수도 이전은 노무현 전 대통령 때부터 시작됐던 정책인 만큼, 친노(친노무현) 인사로 꼽히는 이 전 도지사와 친문(친문재인) 대표주자 격인 김 전 도지사의 참석은 더욱 큰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즉 민주당의 '정통성'을 부각하는 행보라는 것이 정치권의 분석이다.
나아가 행정수도 이전은 결국 개헌 이슈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조기 대선 국면에서 이 사안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김 전 도지사는 이날 토론회에서 기자들을 만나 "행정수도 이전은 노 전 대통령의 꿈이었다. 이제 완성시킬 때가 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특히 대통령실의 경우 (차기 정부가) 용산을 쓸 수도 없고, 완전히 개방된 청와대를 사용하기에도 어려움이 있어 어디로 갈지 정해야 하는 시점"이라며 "빠르게 세종으로 이전하는 것이 현실적 방안"이라고 제안했다.
김 전 도지사는 개헌과의 연관성에 대해 "행정수도 관련한 부분도 개헌 사항이고, 국토 균형발전을 통한 초광역 단위 지방정부 시대를 열어야 할 필요도 있다"며 "제대로 된 지방정부를 위한 개헌이 따라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전 도지사는 '국토 균형발전과 세종시에 대한 노무현의 꿈'이라는 주제로 발제하면서 "노 전 대통령의 꿈을 다시 살펴보면서 불법 계엄으로 고난을 겪는 국민들을 다시 통합하기 위한 열의와 각오를 다졌으면 좋겠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정치권에선 조기 대선 가능성이 여전한 상황에서 비명계의 이같은 개헌 목소리는 '차별화'에 초점이 맞춰진 것으로 보고 있다.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연일 경제·외교 메시지를 내놓으며 사실상 대선 비전 제시에 나서는 상황에서 비명계도 정책 행보로 경쟁에 나섰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김 전 도지사는 이날 '이재명 대표 체제 민주당'에 대한 질문에 "지금의 민주당이 국민에게 압도적 지지를 받지 못하는 것은 사실"이라며 "민주당이 노력을 계속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정재훈
서울본부 선임기자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