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기중앙회가 지난해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수준 달성 가능성 여부 조사' 결과. <중기중앙회 제공> |
중소기업 10곳 중 9곳이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고 답한 설문 결과가 나왔다. 대구경북지역 제조 업계에서도 현실적으로 대응이 어렵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해 11월 5일부터 29일까지 500개 제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탄소중립 관련 중소기업 실태조사'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응답 기업의 92.8%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수준에 대해 '기한 내 달성이 불가능 하다'고 답했다. 이중 '감축은 가능하나 목표 기한 내 달성은 불가능하다'가 50.2%였고, '감축과 달성 시기 모두 불가능 수준'이라는 답은 42.6%였다. 특히 온실가스 의무감축 대상 기업임에도 '기한 내 목표 달성이 불가능 하다'라고 답한 기업이 86.0%나 됐다.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감축한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이는 파리협정에 따라 5년마다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세워야하는데 따른 것이다. 올해는 더 높은 수준의 2035년 감축 목표를 수립해야 한다.
중소기업들은 대응계획을 수립하지 못한 이유로 탄소중립에 대해 '이해하고 검토할 시간적 여유 부족'(51.2%)이란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자금·인력 부족'(31.2%), '검증된 기술 또는 설비의 부재'(23.2%) 순이었다.
대응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대구경북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지역 기업들은 시시각각 변하는 경제 상황을 뒤쫓기에도 벅차다고 답했다.
대구경북기계협동조합 관계자는 "지역 중소기업들은 온실가스 저감 신경 쓸 여력 조차 없는 게 현실이다. 공장 가동률 등에만 신경쓰기도 바쁘다"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그는 이어 "제일 간단한 것이 태양열 발전 등 친환경에너지였는데, 정책의 불확실성으로 지원이 많이 줄어든 상태다. 아무래도 에너지 소비가 큰 기계 제조업 등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받고 있지 않나 싶다. 중견기업 이상 규모로 직원이 많은 경우에는 전담 직원이나 팀을 만들 수 있지만 중소기업은 어렵다"고 부연했다.
탄소중립으로 인해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비용에 대한 부담 정도는 응답 기업의 84.8%가 '부담(매우부담 22.2%+대체로 부담 62.6%)'을 느끼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역의 한 중소 제조기업 관계자는 "자동차부품 제조 기업 2~3차벤드들은 애로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 1차벤드와 완성차업체의 경우 ESG 평가가 반영돼 보고서를 내게 돼 있어 전담팀을 구성하고 전문 인력을 고용하고 있다"면서 "2~3차벤드로 확대되지 않아 인력 수급과 전담팀 구성에 대한 부담이 크다"고 답답해 했다.
탄소 중립 이행에 '가장 필요한 지원책'으로 △노후시설 교체비용 지원(50.4%) △에너지효율 향상기기 도입지원(26.2%) △중소기업 차등 전기요금제 마련(22.6%) 등을 꼽았다.
중기중앙회 대구지역본부 관계자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에 대한 중소기업의 인식은 확대됐으나 실질적으로 이행할 수 있는 자금 여력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라며 "중소기업이 노후화된 시설을 교체하거나 에너지효율을 높이는 설비를 도입하는데 있어 정부의 보조율 상향 등 직접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동현기자 shineast@yeongnam.com

이동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